서울시, ‘세운 초록띠 공원’ 내 City - Farm(도시농장) 조성
도심지 내 City-Farm은 유치원 및 초등학생들에게는 농촌 체험의 장을, 일반 시민들에게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제공하는 등 보고, 즐기고, 느낄 수 있는 도심 속 작은 녹색 공간으로 “세운 초록띠 공원”내 잔디식재 구간에 조성될 예정이다.
City-Farm은 벼, 보리, 수수 등 계절별 경관변화 체험이 가능한 특별한 도심공원으로 조성되며 시민고객들에게 다양한 볼 거리를 제공하고, 외곽은 경관을 고려하여 벼 등 단일식물을 심고 내부는 계절에 맞추어 해바라기, 수수, 조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예정이다.
과거 우리의 전형적인 오픈스페이스인 “논”을 형성화하여 시간별 변화에 따른 도시공간의 변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금년에 한하여 인공적인 포트를 사용하고, 내년부터는 시민고객들이 직접 논에 들어가 체험할 수 있는(모내기, 추수, 탈곡 등) 시민행사로 승화시킬 예정이다.
특히 지난 ’08. 10. 21 “세운 초록띠 공원”의 활용방안에 대한 시민아이디어 공모 시 우수작으로 당선(홍익대 김상헌)된 계획안에서도 공원 내 우리의 전통적 경관요소인 논(沓)을 도입하여 계절변화에 따른 논의 경관 변화와 이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의 모습이 보여 질 수 있는 영속적 공원(안)을 제시한바 있다.
이에 따라 금년도 City-Farm조성은 인위적 또는 자연적 훼손이 발생했을 때 신속히 교체할 수 있도록 사각 포트에 흙을 담아 농작물을 식재하며, 생산적이고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산하 기관인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곳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은 불우이웃돕기 또는 종묘제례(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 시행) 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며, “세운 초록띠 공원”에 현재 포설되어 있는 잔디의 일부(690㎡)는 능동 어린이 대공원에 전량 재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수확된 벼를 탈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볏집은 인근 종묘공원의 가로수 보호 작업에 활용하는 등 다양한 활용계획을 수립
“세운 초록띠 공원”내 City-Farm조성 사업의 시작은 극히 작은 공간에서 시작되나 미래에 까지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어 나감으로써 서울은 새로운 녹색성장의 중심지로 발돋움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서울의 대기질이 개선되어 더욱 더 맑고 살기 좋은 서울을 건설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운 초록띠 공원” 주변은 과거 한성부 5부의 하나인 중부 청사(오늘날의 구청)가 위치하고 있어 지역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정월대보름날에는 예지동(세운4구역)과 장사동(세운2구역)주민들이 서로 편을 갈라 연싸움을 하던 장소로서의 역사성을 감안하여 시민고객들에게 다양한 체험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활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균형발전본부
도심재정비1담당관 정유승
02-2171-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