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북부지역 문화의 샘 강북시립미술관 공모당선작 발표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강북시립미술관 건립설계안 현상공모(‘09.5.8~7.6)를 통해 (주)삼우종합건축의 녹지와 이어지는 이음미술관(EMUSEUM)을 당선작으로 선정(’09.7.15)하여 공개했다

건축연면적 13,665㎡, 지하2층 지상3층 규모로 건립하게 될 강북시립미술관은 체험관, 어린이갤러리, 시민갤러리, 창작스튜디오 등 기존의 미술관과 차별화된 시민문화공간으로 건립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567억원으로 설계 완료후 ‘10.6월 착공하고 ’12.7월 완공하여 '12년 하반기에 개관할 예정이다.

1. 주변의 공원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한편의 풍경화 같은 친환경미술관

빼곡히 늘어선 아파트 사이에 자그마한 공원에 작은 동산을 옮겨 놓은 듯한 고즈넉한 하얀 미술상자가 공원 속에 자리 잡은 듯한 자연친화적인 미술관으로 건립한다.

친환경 에너지 소비형, 공원과 조화를 이루는 저층으로서 녹지형 건물배치로 환경친화적인 미술관으로서 자연녹지와 동산이 주변아파트 숲속의 새로운 활력으로 작용하여 이용시민을 편안하게 해 줄 것이다.

2. 시민들이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즐기는 시민문화 공간

시민들이 지루한 일상의 생활을 벗어나 예술을 만나 문화를 만들어 가는 문화와 예술이 함께 숨쉬는 문화공간으로서 문화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새로운 시민문화 공간으로 건립한다.

미술관 공간은 전시실, 체험관, 어린이갤러리, 시민갤러리, 창작스튜디오, 어머니스튜디오, 정보검색실, 유아방 등 강북지역 시민의 문화공간으로 구성되며,

시민들은 이곳에서 문화예술을 보고, 느끼고, 체험하고 즐기는 문화예술 공간을 뛰어넘어 시민문화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문화커뮤니티 공간이 될 것이다.

3. 문화공간이 부족한 서울동북지역 문화의 샘 역할기대

서울시는 창의 문화도시를 만들기 위한 Culturenomics 마스터플랜에 따라 세계적 수준의 문화인프라를 구축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을 문화를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강북시립미술관이 건립된다.

문화시설이 부족한 서울동북부지역에 새로운 문화공간을 건립함으로써 이 지역 시민들의 문화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문화의 샘으로서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노원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갤러리파크(문화공원)조성과 연계하여 강북시립미술관은 서울동북지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할 것이며 이 지역 문화환경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사위원 심사평>

당선작은 단조로운 공원대지에 건축매스와 경사의 접근로 등을 통한 작은 언덕의 컨셉이 주변의 도시문맥에 새로운 활기를 부여하고 있다. 모든 동선에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방문자들이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외관과 공간구성이 돋보인다.

친환경 에너지저소비형 설계, 공원과 조화를 이루는 저층으로 녹지형 건물배치로 환경친화적인 설계이며,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구조계획 및 디자인이다.

건물을 자연속에 묻어두면서 단순명료한 설계를 하였고, 실내공간 동선 및 기능이 잘되었다. 기존 공원에 새로운 미술관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양자간의 독립성과 조화를 균형 있게 해결한 수작이다.

작품개요
설계의도 : 녹지와 이어지는 이음미술관(EMUSEUM)

○ Landscape을 통한 다양한 동선의 유입으로 미술관과 공원이 만나고, 사람과 문화가 만나 지루한 일상에서 사람과 자연, 예술이 함께 숨쉬는 문화소통의 공간

▷ Exhibition : 전시공간과 수장고 시설
▷ Education :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미술에 대한 이해와 창의력을 일깨움
▷ Experience : 미술체험을 통해 작품의 주체가 되고 지역커뮤니티의 활동을 수용
▷ Eco : 자연친화적 계획으로 문화와 예술의 흥을 취할 수 있는 녹색 휴식 공간 마련
▷ Extension : 공원에서 시작된 녹지의 흐름이 미술관으로 연장되어 문화와 결합한 다양한 이벤트 제공

설계개요

○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508 (등나무근린공원내)
○ 면 적 : 부지면적 23,752㎡, 건축연면적 : 13,664.66㎡
○ 층 수 : 지상3층/ 지하2층(철근 콘크리트)
○ 시설내역
▷ 전시실, 체험강좌실, 어린이갤러리, 시민갤러리, 어머니스튜디오, 정보검색실, 창작스튜디오, 유아방 등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문화국 문화정책과장 이무영
02-2171-2560

도시기반시설본부 건축부장 정병일
02-3708-260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