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브로드밴드, IPTV 2.0 시대 연다

서울--(뉴스와이어)--SK브로드밴드가 IPTV 2.0 시대를 선언하고 TV 문화 혁신을 주도한다. IPTV 이용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꿔 고객 편의를 제고하는 동시에 수익성 개선과 해외 진출까지 세 토끼를 잡는다는 전략이다.

SK브로드밴드(사장: 조 신, www.skbroadband.com)는 19일 오전 서울 중구 본사 14층에서 ‘브로드앤IPTV 2.0 런칭 설명회'를 열고 IPTV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이주식 SK브로드밴드 뉴미디어사업단장 겸 브로드밴드미디어 사장은 이 자리에서 “반세기 고착화한 수동적 시청 습관을 참여형 TV 문화로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 “3E 즉 확장(Expansion)·편의(Effort-free)·상생(Ecosystem) 전략으로 IPTV 진면목을 찾고 수익창출을 본격화 하겠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실질적 양방향성을 구현한 브로드앤IPTV 2.0이 TV 문화 혁신을 주도해 나갈 효과적 동력”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SK브로드밴드가 브로드앤IPTV 2.0을 선언한 것은 양방향성을 구현하지 못하는 1세대 IPTV로는 가입자 확대와 수익 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여기에는 1세대 IPTV가 방송의 범용적 가치, 즉 다채널 경쟁 같은 양적 가치에 지나치게 치중했다는 문제의식이 깔려 있다.

브로드앤IPTV 2.0의 등장은 양방향 뉴미디어의 특성에 맞는 실질 IPTV 시대를 연다는 점에서 안방TV 문화의 질적인 변화를 예고한다. 이주식 단장이 이날 “IPTV만의 본원적 가치와 기능을 전환, 확장해 가자”고 제안한 것도 IPTV만의 차별적 서비스를 늘려 수익 비즈니스 위상을 굳히는 한편, 고객이 더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편의성을 높여 TV 문화를 점진적으로 바꾸어 가겠다는 의도다.

◇ IPTV 2.0 핵심 가치는 ‘3E’…‘All-in-One@IPTV’ 표방

웹 2.0이 ‘참여’ ‘공유’ ‘개방’ 정신을 담았다면, 브로드앤IPTV 2.0은 3E 즉 ‘확장’ ‘편의’ ‘상생’이 핵심 가치다.

이른바 △TV 시청과 정보검색, 구매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올인원 IPTV로 개념과 기능을 확장하고 △UI(사용자환경·User Interface) 등 편의성과 콘텐츠 접근성을 개선하며 △방송사와 PP, 광고사들과 비즈니스 선순환을 끌어내는 IPTV 에코시스템을 구축하자는 것이 브로드앤IPTV 2.0 전략의 요체다.

3E 전략은 궁극적으로 △Genuine-IPTV(본원적 경쟁력 강화) △Growth(수익창출) △Globalization(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3G‘를 목표로 진화 발전한다는 게 SK브로드밴드 측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SK브로드밴드는 △장르 기반으로 UI 혁신(2009년 8~9월) △IPTV 에코시스템 활성화 및 수익구조 다변화(2009년 하반기) △글로벌시장 진출 기반 마련(2010년 이후) 등 3단계로 브로드앤IPTV 2.0 전략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SK브로드밴드는 이날 설명회에서 △채널별 콘텐츠 제공 방식을 장르별로 통합해 구성한 ‘통합오퍼링’ △개인 취향별로 콘텐츠구성·화면선택이 가능한 meTV(개인화TV) △비주얼 UI 등 개편 UI를 비롯해 △트랙볼을 이용한 신개념 리모콘 △브로드앤IPTV 2.0만의 대표 양방향 서비스인 ‘i-Screen’ 등 고객친화형 2.0 서비스를 선보였다.

시연을 맡은 이주식 뉴미디어사업단장은 “1세대 IPTV가 원하는 시간에 프로그램을 골라 보면서 변화의 싹을 틔워냈다면 브로드앤IPTV 2.0은 변화하는 미디어 소비 행태를 반영한 고객 중심 UI를 앞세워 혁신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 브로드앤IPTV 2.0 어떻게 달라지나

○ 확장(Expansion) = 올인원(All-in-One) IPTV. TV를 시청하다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PC로 이동하거나 제품 구매를 하기 위해 PC, 오프라인 매장을 찾아야 하는 불편을 없앤 것이다. 정보 습득과 상품 구매 등이 IPTV 화면에서 원스톱으로 이뤄진다. TV 기능을 확장한 개념이다.

롱테일(Long-tail) 서비스도 선보인다. IPTV는 방송사나 케이블TV와는 달리 시청률 제약이 없는 만큼 비중은 작지만 시장을 주도하는 소수의 소비자들을 위해 기존 미디어에서 쉽게 보기 어려운 VOD 콘텐츠도 제공할 계획이다. 미공개영상이나 영화 촬영 NG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편의(Effort-free) = 고객친화 UI(User Interface) 조성. 기존 채널 및 PP별로 제공되던 콘텐츠 화면을 장르별로 구성해 고객 접근성을 강화했다.

드라마 장르를 선택하면 제공 중인 모든 실시간/VOD 드라마 콘텐츠가 채널이나 방송사에 관계없이 화면에 나타난다. 시청자는 이 방식으로 버라이어티, 스포츠, 시사교양 등 자기가 보고 싶은 다양한 장르의 통합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표기도 텍스트 위주에서 비주얼 중심으로 바뀐다.

막대형 리모콘에서 진화한 트랙볼형 리모콘과 소프트웨어 및 부가서비스 탑재가 자유로운 앱스토어 형식의 셋톱박스 플랫폼도 선보인다.

○ 상생(Ecosystem) = IPTV 관련 사업자들과 상생 비즈니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방송공급자와 시청자 사이 광고, 방송, T-커머스 등 새로운 사업자가 등장해 협업을 발굴하는 등 수익구조를 다양화할 수 있다. 특히 ‘무한 채널’ 장점을 살려 산업부문에 구애받지 않고 IPTV 안에 업체별 영업채널을 만들고, 이를 통해 매출이 증가하게 되면 IPTV 사업자와 비즈니스 파트너들(방송사, PD, 협찬사, 광고주 등)은 선순환 모델을 조성할 수 있다.

SK브로드밴드 개요
1997년 100년여의 독점체계를 유지해 온 국내 시내전화 시장에 경쟁시대의 개막을 알리며 제 2 시내전화 회사로 출범하여 세계최초 ADSL 상용화, 국내 최초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으로 오늘날 대한민국 IT강국으로 부상하는데 공헌을 해왔다. 2008년, 유무선,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를 이끌 SK브로드밴드로 새롭게 태어나 브로드밴드 기반의 컨버전스 트렌드를 창조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broadband.com

연락처

SK브로드밴드 홍보팀
신동석 Manager
02-6266-441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