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탈모환자 해마다 늘어”

광주--(뉴스와이어)--탈모환자가 해마다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 40대가 전체 탈모환자의 70.39%를 차지했으며, 40대이후 여성환자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전남대병원이 지난 2004년 1월부터 2009년 7월말까지 최근 5년간 피부과에서 외래 진료를 통해 탈모환자로 분류된 4,006명을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전남대병원 외래 진료를 받은 탈모환자 숫자는 연도별로 2004년 564명(남 328명, 여 236명), 2005년 667명(남 390명, 여 277명), 2006년 721명(남 418명, 여 303명), 2007년 729명(남 438명, 여 291명), 2008년 731명(남 421명, 여 310명), 2009년 7월말 594명(남 335명, 여 259명)으로 나타나 꾸준히 탈모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탈모질환’의 실진료환자수가 2001년 10만 3천명에서 2008년 16만 5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7년동안 60% 증가한 것과 비슷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자가 2,330명(58.16%)로 여자 1,676명(41.84%)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20~40대가 2,820명(70.39%)로 가장 많았으며, 10대 이하 환자도 499명(12.46%)으로 나타났다. 30대이하의 탈모환자(2,669명)에서는 남성 환자가 1,721명(64.48%)으로 여성 환자 948명(35.52%)보다 많았으나, 40대이상의 탈모환자(1,337명)에서는 남성 환자 610명(45.59%)보다 여성 환자가 728명(54.41%)으로 나타나 여성 탈모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탈모질환을 상병별로 살펴보면 원형탈모증이 1,505명(37.56%)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타비흉터성모발손실 1,317명(32.87%), 안드로젠성탈모증(남성형 탈모증) 878명(여 40명 포함)(21.92%), 흉터성 탈모증(흉터성 모발손실) 171명(4.27%) 등으로 나타났다.

피부과 김성진 교수는 영양상태 및 개인 건강관리가 잘되고 있음에도 탈모환자가 늘어나는 이유로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전반적으로 늘어나 과거와 달리 적극적으로 병의원을 찾아 상담을 받는 경향이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둘째, 지난 7 ~ 8년 동안 탈모증치료제로 대두된 신약들의 효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효과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되어 특히, 청년 중년층 여성들의 경우 이런 약물치료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높다고 말했다.

김성진 교수는 물론 탈모증의 유병율 자체가 늘어난 점도 하나의 요인이겠지만, 아직도 탈모증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많은 부분이 미신적 비과학적인 믿음이나 근거없는 치료제남용, 의약외품, 건강식품이 난무하는 점은 우리사회가 보다 지적으로 성숙해져가면서 해결해 나가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웹사이트: http://cnuh.chonnam.ac.kr

연락처

전남대학교병원 홍보실
김동이
062-220-509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