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기 공예 예술의 극치 ‘건칠반’ 등 공예유물 등록문화재 등록
이번에 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되는 근대 공예유물 4건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건칠반(乾漆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은제이화문탕기(銀製李花文湯器)”, “은제이화문화병(銀製李花文花甁)”,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유제화형촛대(鍮製花形燭臺)”로 우리나라의 근대문화를 표상할 만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조형적 완결성이 뛰어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공예사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건칠반(乾漆盤)”은 우리나라 최초로 일본 동경미술학교의 공예분야에서 유학한 강창규(姜昌奎, 1906-1977)의 건칠 작품이다. 활짝 핀 나팔꽃 모양의 팔각 소반(小盤)에 짙은 밤색과 주칠(朱漆)을 교대로 사용하여 강렬한 색채 대비와 표면 광택이 화려하게 살아있는 공예품으로, 단절 위기에 있던 우리나라 건칠공예를 홀로 고수하며 현대적으로 승화시킨 작가의 초기 작품세계를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은제이화문탕기(銀製李花文湯器)”는 표면을 망치로 두드린 단조(鍛造)기법으로 제작한 은그릇으로 덮개에 ‘萬壽無疆’ 문자를 금으로 감입(嵌入)하고 연봉형 꼭지를 달아 전통을 잇고자 하는 여망에 실용성을 가미한 멋을 볼 수 있다. “은제이화문화병(銀製李花文花甁)”은 기계로 생산한 제작방식과 대한제국 황실의 문장인 오얏꽃(李花)을 두툼하게 붙여 넣은 점에서 근대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둘 다 왕실에서 사용하는 공예품을 제작하기 위해 설립된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서 1910년대에 제작한 것으로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유제화형촛대(鍮製花形燭臺)”는 등잔걸이 형태의 유기(鍮器) 촛대로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고 연꽃형 좌대의 꽃잎을 부분으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게 디자인 되어 있다. 연꽃을 소재로 삼아 유기적으로 빚어낸 솜씨가 일품이며 근대기 공예품이 실용성에서 미술공예로 변모되어 가는 흐름을 제작기법과 조형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공예적 가치가 크다.
이번에 공예 관련 유물의 문화재 등록은, 문화재청이 근대공예분야 목록화 조사 용역과 등록조사 용역을 바탕으로 유물에 대한 일괄 조사를 통한 비교·평가, 관계전문가 현지조사와 검토회의 등 치밀한 기획과 충분한 검토·논의 과정을 거쳐 추진되었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문화재 등록예고 공고를 통해 소유자를 비롯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등을 거쳐 등록문화재로 공식 등록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근대문화재과
042-481-4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