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서울의 가을하늘이 예년보다 더 맑고 높게 보이는 이유

서울--(뉴스와이어)--지구온난화로 인한 잦은 연무현상, 중국오염물질 유입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09년 8월말까지 미세먼지 농도 작년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 1~8월까지의 변화추이를 보면 ’02년 83㎍/㎥, ’06년 64㎍/㎥, ’08년 56㎍/㎥, ’09년 55㎍/㎥로 서울시 대기질 측정이래 가장 낮았던 ’08년보다도 1㎍/㎥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8월 미세먼지 농도는 동경, 뉴욕 등 OECD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난 8월 13~16일에 중국의 고농도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미세먼지 농도가 일평균 80㎍/㎥까지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8월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31㎍/㎥로 OECD 선진국 주요 도시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울시 대기질 측정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08년과 올해 ’09년 8월의 강우일과 외부 고농도 오염물질 유입일 제외하고 미세먼지 농도와 시정거리를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PM10) 농도는 무려 10㎍/㎥이 낮아졌고, 평균시정거리도 3.4㎞가 길어진 것으로 조사되어 지난해 보다도 올해 서울의 공기가 더욱 맑고 깨끗해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남산에서 인천앞바다를 지나는 배가 보인다구요!

지난 8월 31일에는 하루 종일 시정거리가 30㎞를 유지하여 남산에서 개성 송악산이 한눈에 들어오고 인천 앞바다를 지나는 선박이 보인다는 뉴스가 보도될 정도로 지난 8월에는 시정거리 25㎞이상인 날은 12일 30㎞ 이상인 날도 4일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1~8월까지 시정거리가 20㎞이상인 날을 조사해본 결과 2005년에는 19일, 2006년에 35일, 2008년 43일, 2009년 올해는 62일로 지난해 보다도 19일이나 증가하였으며, 서울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맑고 깨끗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1~8월까지 같은 기간 동안의 평균 최대시정 거리를 비교해보면 2005년 대비 1.3㎞가 길어졌고, ’95년 이후 대기질측정 이후 가장 맑았던 2008년보다도 0.8㎞가 길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속적인 경유차 저공해사업 추진으로 미세먼지 약 950여톤 삭감

서울시는 민선 4기 5대 핵심프로젝트의 하나인 맑고 푸른 서울만들기 프로젝트인 대기질 개선사업으로 CNG 버스보급, 경유차 저공해화사업추진으로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약 950여톤을 삭감하고 미세먼지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경유차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는 심장병, 동맥경화, 천식, 조기사망을 유발하여 인체에 매우 유해하고, 광흡수 현상을 발생시켜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고 있어, 미세먼지 저감 및 대기질 개선을 위해 ’05년부터 경유차 저공해 사업을 추진하여, 매연저감장치 부착 등 총16만2천대에 대해 저공해조치를 완료하고, 서울시 시내버스의 86%인 6,508대를 CNG 버스로 교체하였으며, 2010년까지 전부 교체 보급할 계획으로 있다.

2008년도부터 3.5톤이상 중·대형 경유차에 대한 저공해의무화 시행으로 대상차량 22천대의 90%이상이 저공해조치를 완료하였고, 금년 6월부터 저공해의무화 대상을 총중량 2.5톤 이상까지 확대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10년 이후 부터는 저공해 미조치 차량에 대하여 경기·인천시와 함께 수도권지역 운행제한을 시행할 예정에 있다.

저공해 의무화 대상차량은 매연저감장치 부착 시 비용의 90% 정도를 지원하고 환경개선부담금 및 정밀검사가 3년간 면제되고, 또한 차령 7년이상 경과된 차량이 조기폐차를 하는 경우 차종별 상한액(소형 100만원, 중형 300만원, 대형 600만원) 범위 내에서 차량기준 가액의 80%의 보조금을 지원해 주고 있다.

대기질 개선을 위해 중앙버스 전용차로 확대, 승용차요일제 시행 등 친환경 교통수요 관리 대책과 함께 도로먼지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서울전역의 도로 물청소 확대 등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 일상생활 속에서 교통량 감축을 위해 승용차요일제를 지난 2006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공영주차장 주차요금과 혼잡통행료 감면 등의 혜택을 주고 있으며, 현재 서울지역의 승용차요일제 참여차량은 92만대이다.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도 승용차요일제 사업에 동참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매일밤 23:00부터 다음날 새벽 07:00까지 주요 도로는 물론 이면도로 골목길 등 전 차도에 대해 노면청소차 157대를 이용 모래 먼지 등 도로의 먼지, 쓰레기를 작년한해 1만 7천톤을 진공흡입 제거하였으며,

도로먼지 진공흡입 후 도로 물청소차 244대, 보도 물청소장비 12대를 동원하여 매일 10,000여km에 대한 물청소를 실시 ‘07년11월부터 ’09년 8월까지 약 지구 60바퀴 거리에 해당하는 총 연장 250만km의 도로에 대한 물청소를 실시하여 대기질 개선은 물론 깨끗하고 청량감 있는 도로환경을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매월 네 번째 수요일은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동시·대대적으로 물청소를 실시하는 서울클린데이 날을 운영 시민고객들이 깨끗해진 거리를 피부로 느끼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자가용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차 없는 거리를 기존 종로외에 올해는 강남 테헤란로로 확대하여 실시하는데 오는 9월22일(화)은 새벽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 종로(세종로 사거리~흥인지문, 2.8Km)와 강남 테헤란로 (삼성역~역삼역, 2.4Km)에 승용차 통행이 전면 금지되는 ‘차 없는 거리’가 운영된다.

특히, 서울시에서는 대기질 개선과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합한 친환경·고효율 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그린카 보급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2020년까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 100%를 그린카로 전환할 계획이다.

’10년까지 시내버스 100%를 CNG버스로 전환하고, 하이브리드 버스, 전기버스 시범운영 후 ’20년까지 모든 시내버스를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버스로 전환하고, ’09년 하이브리드택시 시범 보급사업을 실시한 후 ’12년까지 전기택시 개발 후 ’20년까지 모든 택시를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택시로 전환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대기관리담당관 이인근
02-2115-775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