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동물과 생태계의 소중함 우리 청소년들이 알린다”
환경부는 매년 생물자원보전 청소년리더를 선발하는데, 생물자원보전 청소년 리더는 우리 땅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생물자원의 소중함과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홍보대사로서 막중한 임무를 가지게 된다.
용강중학교 1학년 가온누리(김재희, 김유진, 오윤민, 김도훈, 이동재)를 비롯한 서울과 인천지역의 청소년 4팀은 이번 홍보활동을 통하여 저어새를 알리고 있다.
저어새는 현재 세계적으로 2,000 여마리 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의 새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만, 홍콩, 일본 등 동남아지역의 갯벌에 서식하고 있다. 최근의 보전 노력으로 저어새의 개체수가 증가되었으나 아직 현재 세계적으로 2,000 여마리 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의 새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다. 또한, 지난 겨울에는 저어새의 한 종류인 노랑부리 저어새가 동두천 신천변 주위에서 월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신천의 생태계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희망찬 소식이 전해지기도 하였다.
특히, 가온누리는 송도 유수지의 인공섬에서 둥지를 틀고 있는 저어새를 직접 찾아나서 송도 및 강화 갯벌 매립, 경인운하사업 등의 개발로 서식처를 위협받고 있는 저어새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저어새와 갯벌보전의 필요성을 되새겼다.
또한, 이들 가온누리는 저어새 뿐만 아니라 생태복원의 노력의 일환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선정된 깃대종들을 소개하였는데, 깃대종(Flagship species)는 생태계의 여러종 가운데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생물종으로, 한 지역의 생태적, 지리적, 문화적 특성을 상징하는 동물로 환경단체 등 시민들이 나서서 각 지역을 대표하는 깃대종들을 선정하고, 일상에서 깃대종 살리기 생태보전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대표적 깃대종들로 서해안의 잔점박이물범, 인천의 금개구리, 서울 월드컵 공원의 맹꽁이, 청계산의의 두꺼비 등이 있다.
가온누리 팀원인 김모 양은 “저희들이 살고 있는 이촌동은 한강시민공원과 가까워서 그동안 한강을 자주 찾으면서, 한강이 개발되어 참 좋다는 생각만 했었어요. 막상 이 곳에 와서 한강과 한강 하구 습지개발에 의해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을 눈으로 보니까 개발에 의해 우리만 즐길 수 있는 한강이 아니라, 여기에서 한강과 습지를 공유하고 있는 저어새와 같은 동식물들의 보전을 위해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이런 사실을 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라며 한강을 즐기고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를 다짐했다.
용강중학교 개요
용강중학교는 1969년에 용산여자중학교로 개교하여 1990년에 용강중학교로 교명이 바뀌었으며 총 29학급으로 1,000여명의 남녀 학생 혼성반으로 편성된 우수한 중학교로 "밝은 슬기, 고운 마음, 바른 모습" 이라는 교훈아래 성장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