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 쑥쑥 빠진다”…부동산뱅크

서울--(뉴스와이어)--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된 집값 하락세가 2주째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가격이 하락 조정된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이를 사겠다는 수요자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수요자들 사이 집값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팽배해 가격을 묻는 전화만 있을 뿐 실제 거래에 나서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서울 25개 구 중 6개 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일제히 하락했고, 신도시는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경기도는 그동안 보합세를 유지하던 서울 외곽 경기지역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부동산뱅크(www.neonet.co.kr )에 따르면 11월 3주 전국 아파트값은 -0.03%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이 -0.05%로 3주 연속 하락했고, 버블세븐지역(-0.12%)은 지난주보다 낙폭을 0.02%p 확대했다. 신도시와 경기도는 각각 -0.04%, -0.05%씩 하락하는 양상을 띠었고, 인천은 -0.05% 뒷걸음질쳤다.

서울 권역별로는 강남권과 비강남권이 각각 -0.09%, -0.03%씩 하락했다. 유형별로는 강동구(-0.45%), 강남구(-0.42%), 송파구(-0.21%)를 비롯한 구로구(-0.28%) 일대 재건축 아파트값이 빠지면서 서울 재건축이 -0.27%가 밀려났다. 일반 아파트는 -0.01% 소폭 하락했고, 주상복합단지는 0.09% 오르는 모습을 보이며 대조를 이뤘다.

서울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하락세가 강북권, 도심권 등 서울 전역으로 확산됐다. 중랑구가 -0.26%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강동구(-0.23%), 강남구(-0.14%), 송파구(-0.08%), 동대문구(-0.05%), 중구(-0.04%), 노원구(-0.01%), 도봉구(-0.01%) 등이 일제히 하락대열에 합류했다.

중랑구에서는 상봉동 일대 중형 아파트가 2,000만 원 이상씩 가격이 하락 조정됐다. 우정 108㎡(33평형)가 4,000만 원이 빠진 3억 7,500만 원에, 건영1차 112㎡(34평형)가 2,000만 원이 하락한 3억 6,500만 원에 매매가를 형성했다.

강동구는 상일동과 둔촌동 일대 재건축 아파트값이 집값 하락을 이끌었다. 매수세가 끊긴 상황에서 호가를 낮춘 매물이 출현 중이다. 상일동 고덕주공7단지 59㎡(18평형)가 5억 9,000만 원에서 5억 7,000만 원으로, 둔촌동 둔촌주공3단지 112㎡(34평형)가 9억 1,500만 원에서 8억 9,750만 원으로 호가가 낮아졌다.

이밖에 강남구 개포동 주공3단지 36㎡(7억 1,500만→6억 8,000만 원), 송파구 쌍용2차 108㎡(6억 2,000만→5억 9,500만 원), 동대문구 전농동 SK 108㎡(4억 1,500만→4억 500만 원), 중계동 현대6차 148㎡(6억 6,000만→6억 3,500만 원) 등도 매매가가 빠졌다.

신도시는 중동(0.04%)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대부분 중대형 아파트가 하락한 가운데 일산이 -0.11%로 크게 떨어졌고, 평촌(-0.07%), 산본(-0.06%), 분당(-0.01%) 순으로 집계됐다. 일산에서는 마두동 백마삼성 158㎡(48평형)가 2,500만 원이 하락한 7억 5,000만 원에, 평촌에서는 평촌동 꿈한신 145㎡(44평형)가 2,500만 원이 떨어진 7억 6,500만 원에 가격이 새롭게 형성됐다.

경기도는 지난주 경기 남부에 이어 이번주 북부 일부 지역까지 하락세에 동참했다. 포천시가 -0.86%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용인시(-0.39%), 양주시(-0.35%), 이천시(-0.26%), 의왕시(-0.16%), 광주시(-0.10%), 광주시(-0.10%), 고양시(-0.09%) 등의 순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포천시는 소흘읍 송천마을 뜨란채 105㎡(32평형)와 한국개나리 79㎡(24평형)가 각각 1,000만 원, 500만 원이 하락해 1억 8,500만 원, 1억 9,500만 원에 매매가를 형성했다. 매수문의가 없자 일부 집주인들이 호가를 낮춰 매물을 내놓는 추세다.

용인시는 동백지구 일대 아파트값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백현마을서해그랑블 108㎡(4억→3억 7,000만 원), 호수마을월드메르디앙 108㎡(4억→3억 7,000만 원), 상록롯데캐슬2단지 105㎡(4억 750만→3억 8,000만 원) 등이 일제히 떨어졌다.

이밖에 양주시 덕정동 봉우마을주공5단지 82㎡(1억 5,000만→1억 4,000만 원), 이천시 대월면 현대전자사원 79㎡(9,000만→8,500만 원), 의왕시 99㎡(2억→1억 9,000만 원) 등의 거래부진이 이어졌다.

한편, 인천은 서구(-0.11%), 중구(-0.09%), 부평구(-0.09%), 남동구(-0.04%), 계양구(-0.03%) 등의 순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집주인들이 매물을 내놓지 않는 상황이지만 일부 급매물이 출현하면서 시세가 조정되고 있다. 서고 원당동 대림e-편한세상 85㎡(2억 2,500만→2억 250만 원), 중구 신흥동 경남아너스빌 108㎡(2억 6,500만→2억 5,000만 원), 부평구 삼산동 삼산타운2단지 108㎡(3억 6,000만→3억 4,500만 원) 등이 맥을 못 췄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김근옥 책임연구원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