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디지털 퍼포먼스 ‘Flying Window’ 공연…KAIST 김이경 교수 총연출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디지털 퍼포먼스 센터가 김이경 교수의 총연출로 준비한 <꿈꾸는 창>은 무용과 미디어아트, 라이브 연주와 합창,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어우러져 동심이 꿈꾸는 미래의 모습을 환상의 무대로 보여준다.
동화 속 상상의 인물들과 만나고 신비로운 사건을 경험하며 시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환상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는 공연이다. 창작발레를 선도하는 유니버설발레II와 이고은 발레단의 흥미진진한 스토리텔링, 신진 미디어아티스트들의 발랄한 감수성, 라이브 연주와 어린이합창이 끌어내는 아날로그적 호소력이 새로운 무대기술과 융합하여 관객들에게 디지털 퍼포먼스의 새로운 매력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예술 장르가 결합하여 어떤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을까? 우리가 꿈꾸는 미래는 끝없는 기술의 발전을 넘어서 인간과 어떤 교감을 할 수 있을까? 과연 우리는 미래사회에서 가상현실과 컴퓨터 네트워크 그리고 유비궈티스 환경의 조화 속에서 풍요로운 삶을 구가하게 될 것인가? 아니면, 사이버 공간의 메이트릭스에 갇혀 자아를 상실하고 통제되고 메마른 일상을 경험하게 될 것인가?
<꿈꾸는 창>은 인간의 영혼을 품을 수 있는 생명력 있는 미래의 환경을 소녀의 꿈을 통해서 그려본다. 도처에 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의 스크린은 미래를 꿈꾸는 창이며 오늘의 삶을 투영하는 거울이다. 또한 우리는 각자의 창을 통해 서로를 바라보고 서로에게 다가간다.
<꿈꾸는 창>은 자연과 기술, 이성과 감성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마음으로 소통하는 세상을 표현해 보고자 한다. 공연은 가상공간과 실재적 자연 환경의 대립된 구조를 통하여 인간 사회에서 소통의 단절과 공간적 해방이라는 이중구도를 이끌어 나간다. 그리하여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층에게 테크놀로지와 예술적 감각이 융합되는 공연 예술을 통해 미래의 삶의 모습에 대하여 생각하게 한다.
아라는 늘 동화책을 보며 상상 속의 세상을 꿈꾼다. 아라는 창을 통해 신비한 세계로 빠져 드는데... . 카드나라의 하트여왕과 병사, 해골 아가씨와 신사, 서부의 사나이, 늑대와 빨간 두건 등 동화 속의 주인공들이 춤을 추며 소녀를 즐겁게 만든다. 어느새 어른이 되어버린 아라는 소통을 갈망하지만 이상과 현실, 어느 곳에도 뿌리내리지 못하고 표류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본다. 꿈꾸는 창의 끝자락에는 아름다운 음악의 선율과 자연의 무도회가 생생한 기억의 춤으로 그려진다.
<공연 안내>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년 융합창작공연(디지털 퍼포먼스 Flying Window (꿈꾸는 창) )
시간:2009년 11월 26일 (목요일) 오후 7시
장소:상암동 KGIT센터 5층 다기능스튜디오
제작진:
총연출: 김이경
기획/제작: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디지털 퍼포먼스 센터
안무: 백연옥, 이고은
무용: 유니버설 발레II (지수평, 이주연, 박다정, 김은지, 이산하, 임다희), / 이고은 발레단 (유장일, 문신하, 유승진, 최현영, 최대성)
피아노: 정송희
첼로: 박다함
무대 감독: 서정민
조감독: 강현후
무대/조명 디자인: 장대근
무대 미술: 김세용
디자인: 박준석, 여미주, 이윤솔
영상: 김동현, 김민철
음악 디자인: 정송희
미디어 아트: 한무경, 한지연
기술: 김지환, 유상필, 김동옥, 문은영
기술협찬: (주)클로버추얼패션, (주)아이토닉
자문: 원광연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장), 박규호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주최: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문 의: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김민철(clarakkim@gmail.com)
좌석권 배부: 2009년 11월 26일(목) 공연 30분 전부터 안내데스크에서 선착순 좌석권 배부
※ 위 행사 일정은 주관단체나 출연자의 사정에 의해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공연 단체 소개>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디지털 퍼포먼스 센터:디지털 매체의 활용과 장르통합에 기반한 아방가르드 창작공연의 새로운 형식을 개척하고 전문화하기 위하여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이 2007년에 설립한 연구 및 공연 기관이다. 디지털 퍼포먼스 창작기반의 육성을 목표로,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창조적 잠재력을 무용, 패션, 음악극 및 미디어 아트의 접목을 통해 구현하며, 디지털 퍼포먼스의 방법론과 미학적, 문화적 의의에 관한 연구를 학제통합적 시각에서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 퍼포먼스를 위한 콘텐츠 개발, 공연기획, 제작 및 연출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융복합 디지털 공연을 선보여 왔으며, 최첨단 장비와 연구 인력을 확보하여, 가상무대공간과 배우, 동작인식과 재현 프로그램, 로봇 무대화 등, 생동감과 상호성이 높은 차세대 공연기술의 개발과 무대효과 실험에 정진하고 있다. 대표작품에는 신타지아, 비온드 판타지, 사이버 스키핑, Future Cityscapes I (단지 욕망, 순간의 영혼) Future Cityscapes II (타인의 숨결) 등이 있다.
유니버설 발레 II:대중을 직접 찾아 맞춤공연을 실현하는 실용주의 발레단이다. 유니버설발레II는 보다 다양하고 실험적인 도전을 통해 발레 대중화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있다. 유니버설발레II (예술감독 백연옥)는 유니버설발레단의 젊은 무용수 14명으로 구성된 제2컴퍼니로서 2007년 10월 창단되었다. 주요 레퍼토리는 클래식 발레를 기본으로 한 컨템포러리 발레이며, 2008 년에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와 부산국제무용제 개막공연팀으로 선정되어 주목을 받아왔다. <성남국제무용제>, <청계천 문화축제>, <신세계백화점 문화홀 공연>, <발레엑스포서울>, 등에 초청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09년에도 성남국제무용제, 신세계백화점 문화홀 공연, 2009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연 등을 기획하고 있다. 대표작품에는 밤부 밤부, 그윽한 향기, Minus 7, 동물의 사육제, 더 컬러즈, 표류, 천사의 숨결
이고은발레단:작품성과 대중적 흥행을 모두 거머쥔 작품들을 선보이는 창작발레단이다. 1995년 이래로 활발히 자신의 무대를 꾸며가고 있는 발레안무가 이고은은 클래식 발레에 익숙해져 있는 관객들에게 창의적이고 대중적인 현대창작발레 작품들을 선보이며 대중과 더욱 가까이 다가서고 있다. 이고은 발레단은 클래식발레의 테크닉에 비중을 두던 틀에서 벗어나 편안하게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작품, 대중적 코드를 적절히 접목시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가고 있다. 대표작품에는 늑대와 빨간두건, Mr. 심학규 Vs. Miss 뺑덕, 카드게임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aist.ac.kr
연락처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김민철
010-47641988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