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무릎통증의 주범 관절염, 중기 이상은 관절내시경 수술 필요”

성남--(뉴스와이어)--추위가 시작되면서 무릎 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환자들의 병원 방문이 늘어가고 있다.

기온 저하로 근육과 혈관이 수축되고 근육의 유연성도 떨어져서 관절이 굳어지고 혈액순환도 저하되어 통증을 더욱 크게 느끼게 만들기 때문이다. 관절염환자가 급증하는 겨울, 관절염의 원인과 예방법,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기로 하겠다.

노인의 80% 이상이 앓고 있는 퇴행성관절염

관절염은 관절을 이루는 뼈와 연골, 인대에 손상이 일어나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60대 이상 노인의 80%가 앓고 정도로 대중적인 질환이다. 통증과 함께 보행 장애와 같은 생활의 불편뿐만 아니라, 우울증과 같은 심적인 후유증도 일으키는 생활습관 질환이다.

퇴행성 관절염의 대표적인 원인은 오랜 기간 비만, 관절의 과사용, 외부 충격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반복되는 작업이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오랜기간 동안 무릎을 혹사시킨다면 퇴행성관절염이 빨리 찾아올 수 있다. 따라서 노화와 연관된 변화가 퇴행성관절염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노화 자체가 원인은 아니다.

초기에 호소하는 증상은 무릎 관절 부위의 통증이다.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는데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오르막, 내리막길을 다닐 때 무릎의 통증이 심하면 이미 진척이 많이 된 상태이다. 걸음걸이에 이상을 보인다면 특히 그렇다. 관절 연골의 소실과 변성이 있다면 관절을 움직일 때 마찰음을 느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서서히 진행되며 간혹 증상이 좋아졌다가 나빠지는 간헐적인 경과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노년층의 경우 노화증세의 일부로 생각하고 퇴행성관절염을 방치하기 쉽다. 또한 자녀들이 걱정할까 봐 자신이 아픈 사실을 숨기고 고통을 감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퇴행성관절염은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연골 및 연골판, 인대 등의 손상 가속화 되어 몸과 마음은 물론 물적으로도 커다란 대가를 지불해야한다.

관절염의 치료와 예방법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여우진 원장은 “초기 관절염 치료로는 진통제, 소염제와 같은 약물치료 요법이 있지만 중기 이상의 관절염은 관절내시경수술이나 인공관절수술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관절내시경이란 약 5mm의 가느다란 두께의 관 끝에 초소형 카메라가 달려 있어 관절 속을 8배 이상 확대해 살펴볼 수 있는 의료 기구다. 연골이나 인대 손상, 뼈의 마모 여부 등을 진단할 수 있으며 X선, MRI, CT로도 파악이 어려운 증상까지 발견 가능하다.

인공관절은 예전과 달리 여성용과 남성용을 별도로 수술 받을 수 있다. 또한 티타늄 소재의 3세대 인공관절의 등장으로 무릎이 최대 160도까지 구부릴 수 있고 수명도 과거 10~15년에서 현재는 30년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인공관절을 수술 받을 수 있다.

바른세상병원 여우진 원장은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나쁜 자세나 생활습관을 우선적으로 피해야한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적당한 운동은 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으나 과도한 운동은 피해야하며, 비만은 체중부하에 의해 퇴행성 관절염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체중 감량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도움말: 바른세상병원 여우진원장]

웹사이트: http://www.barunsesang.co.kr

연락처

정웅철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