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K7’ 탄소성적표지 인증 획득
탄소성적표지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며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여 제품의 친환경성을 인증하는 제도다.
기아차 ‘K7’의 탄소배출 총량은 29.5t으로, 원/부자재 제조단계 11.8%, 차량 제조단계 1.8%, 사용단계(12만km 주행기준) 86.4%, 폐기단계에서 0.04%의 비율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7’은 엔진효율 향상, 6단 변속기 및 친환경 타이어 장착, 차체 경량화로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소배출량을 줄였으며 공기저항을 최소화한 차체설계로 동급 최고 수준의 공기저항계수를 실현하여 리터당 11.8km의 연비(2.4ℓ모델 기준)를 달성했다.
‘K7’은 이러한 탄소감축 활동을 통해 동급 경쟁차보다 약 1.2t의 탄소발자국을 감축했으며, 이는 30년생 소나무 10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동일한 수준이다.
기아차는 이번 탄소성적표지 인증 결과를 비롯한 ‘K7’의 우수한 친환경성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와 지속가능보고서 등을 통해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K7’의 탄소성적표지 인증 획득은 기아차가 그 동안 친환경적 자동차 생산과정을 구축한 결과다.
기아차는 지난 2006년부터 제품의 원재료, 제조, 사용, 폐기의 전 과정에 걸친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기법을 완성차에 적용하고 있다.
아울러 CO2 배출량 및 자원 사용량은 줄이면서 더 높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에코 효율성 평가를 통해 자동차 생산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탄소배출량의 대부분(86.4%)을 차지하고 있는 사용(주행)단계에서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경제운전안내 시스템을 도입하고 연비왕 선발대회를 여는 등 운전자들의 친환경운전을 유도하고 있다.
기아차 관계자는 “‘K7’에 이어 향후 출시될 신차들 역시 탄소배출량 저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돕는 저탄소 녹색경영체제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 사람의 활동이나 제품의 제조-사용-폐기 등 전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총량을 의미하며, 이를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로 환산해서 나타내는 것을 말함.
웹사이트: http://www.kia.co.kr
연락처
기아자동차 홍보실 02-3464-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