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쏘나타 美서 잔존가치 최상위권 진입
현대자동차(회장 정몽구)는 미국 최대 중고차 잔존가치 평가기관인 ALG社(오토모티브 리스 가이드社, Automotive Lease Guide)의 신형 쏘나타(프로젝트명 YF) GLS 모델의 3년 후 잔존가치 평가에서 54%를 받아 동급 차종 중 최상위권을 달성했다고 10일(수) 밝혔다.
잔존가치(Residual Value)란 신차를 일정 기간 사용 후 예상되는 차량의 가치를 산정한 것으로, 잔존가치가 높을수록 중고차 가격 역시 상승하며 이는 신차 수요로 연결되는 등 브랜드 가치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형 쏘나타 GLS 모델의 54%를 비롯, 이번에 신형 쏘나타가 받은 평균 52.8%의 잔존가치는 기존 쏘나타(프로젝트명 NF)의 41.8%에 비해 11% 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동급 차종 전체 평균인 46.9%보다 6% 가까이 높으며, 토요타 캠리 49.5%, 닛산 알티마 51.1%, 포드 퓨전 44.4% 등 동급 인기 차종을 가볍게 넘어서는 수치다. ※ 비교 대상 차종은 미국 2010년형 판매모델 기준임
특히, 신형 쏘나타의 평균 잔존가치가 동급 최상위 차종(스바루 레가시 56.3%)의 잔존가치의 94%에 달하는 등, 기존 쏘나타의 74%에서 크게 향상돼 동급 차종 최상위권에 진입했으며, 이는 미국시장에서 현대차가 품질, 성능, 안정성, 디자인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게 됐음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세계 최고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출시된 고급 모델들을 중심으로 판매 차종의 잔존가치 향상을 주도하고 있으며, 2010년형 제네시스는 47.5%, 제네시스 쿠페 52.3%, 2010년형 베라크루즈 49%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2010년형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는 48.3%, 새로 출시한 투싼ix는 50.6%로 평가됐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관계자는 “높은 잔존가치는 전체적인 보유비용을 줄이고, 고객들에게 좋은 리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현대차의 브랜드 가치 상승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말 국내에서 열린 ‘글로벌 품질전략 컨퍼런스’에서 “10년 무고장 품질달성을 기반으로 퀄리티 마케팅(Quality Marketing)을 통한 Best Buy Brand(가장 갖고 싶은 자동차 브랜드) 달성”을 선언했는데, 이번 신형 쏘나타의 높은 잔존가치 평가는 이러한 퀄리티 마케팅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ALG(Automotive Lease Guide) : 1964년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에 설립. 45년간 중고차 잔존가치 평가해온 전문 평가기관. 현재 거래되는 중고차 가치와 향후 예상되는 차량의 잔존가치까지 평가해 격월로 ‘잔존가치 가이드북 (Residual Guide Book)’을 발행하고 있으며 이는 운전자들의 신차 구매 및 딜러의 리스 판매 조건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신형 쏘나타 잔존 가치 평가 결과 : 평균 52.75%
· GLS 매뉴얼 52%
· GLS 오토 54% (미국 시장 주력 모델)
· SE 매뉴얼 53%
· Limited 매뉴얼 52%
현대자동차 개요
현대자동차는 국내 최초로 독자 모델 포니를 개발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해왔다. 세계 200여 개국에 자동차를 수출하고 글로벌 생산기지를 건설해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로 자리매김했다. 세계 최초 양산형 수소차를 출시하고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를 론칭해 시장을 확대하는 한편, 선도적 자율주행과 커넥티비티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견인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hyundai.com
연락처
현대ㆍ기아자동차 홍보실
02-3464-2102∼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