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라이프, 고인을 보내는 길 ‘장례절차’ 소개
장례절차는 지인이나 가족들 중 가까운 장래에 임종이 예견되는 노인이나 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장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세워져 있어야 한다. 화장여부와 묘지, 장례식장 등을 결정해야 하며 부고를 알릴 분들의 연락처를 미리 정리하여 두어야 하며 모실 곳을 정해야 도움이 된다.
장례는 일반적으로 3일장으로 진행된다. 초상이 났음을 외부에 알려 상례를 시작한다. 고인과 유족의 가까운 친지나 지인들에게 부고를 낸다. 부고에는 발인일과 장지를 포함하며, 상주의 이름이 아니라 호상의 이름으로 보낸다.
장례 둘째 날에는 입관 전 시신을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염습절차가 있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겨왔지만, 최근에는 소독된 솜이나 거즈를 사용하곤 한다. 입관 시에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마포, 삼베 등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입관이 끝난 후에는 영자를 마련한 뒤 상복을 갖춰 입는다. 성복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영좌가 마련된 방에서 조문을 받게 된다.
셋째 날에는 영구가 집을 떠나는 발인 절차가 있다. 관이 이동 시에는 시신의 머리 쪽이 먼저 나가야 한다. 식순은 일반적으로 개식사-주상, 상제의 분향재배-고인의 약력보고-조사-조객분향-호상인사-폐식사의 순으로 하며 특정 종교일 경우 그 형식에 따른다. 발인제 후에 운구와, 하관 절차가 진행된다. 하관 시에는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가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린다. 하관 후 위령제와 함께 대략적인 장례 절차가 끝이 나게 된다.
넷째는 장례 후 봉안당, 영구봉안묘, 수목장, 평장으로 모시는 장묘절차로 장례만큼이나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 보통, 병원 장례식장이나 상조업체에서 다른 의전 팀에게 넘어가서 양질의 서비스를 받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허나 장묘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상조업체를 선택한다면 장지절차까지 안정된 진행이 가능하다.
최근 장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새로운 상조와 장묘문화가 생기고 있다. 상조회사의 도움을 받아 전문적인 장례 지도사와 장례 도우미들의 서비스를 받고 체계적인 장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장례절차의 안내는 한강라이프의 공식카페(http://cafe.daum.net/seoul-life, 장묘 절차의 서비스 문의는 한강정보기술의 공식카페(cafe.daum.net/seoul-it)와 전화(1688-9098)를 통해 문의해볼 수 있다. 장례문화의 패러다임을 이끄는 상조업체 한강라이프와 장묘문화의 또 다른 패러다임 한강정보기술을 통해 예를 갖춘 이별을 준비해보자.
한강라이프 개요
한강라이프(주)는 가족의 대소사를 미리 준비하도록 돕는 상조 전문 기업이다
웹사이트: http://www.hankanglif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