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교란종 관리방식 따라 제거효과 크게 차이
- 단풍잎돼지풀은 관리가 집중된 경기도 일대에 대량 확산
- 서양등골나물,도깨비가지 등 식물 4종은 집중관리 성과 가시
이번 결과는 생태계교란종 10종에 대한 2009년도 전국 모니터링에 따른 것이다.
※ 조사된 생태계교란종은 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붉은귀거북, 단풍잎돼지풀, 돼지풀, 도깨비가지, 서양등골나물, 물참새피, 털물참새피 등 총 10종
생태계교란 어류 모니터링 주요결과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은 진위천 상류부에서 출현이 크게 늘었다.
큰입배스는 2007, 2008, 2009년 전체 어류중 개체수 비율이 각각 3.7%, 4.5% 및 10.3%로 2009년에 개체수가 크게 늘었고 파랑볼우럭도 각각 1.2%, 6.7%, 19.3%로 2009년에 개체수가 크게 늘었다.
큰입배스와 파랑볼우럭이 전체 포획된 어류의 무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0.3%와 46.5%로 전체 어류 무게의 66.8%에 달했다.
큰입배스는 진위천의 상류부에서 하류부까지 모두 크게 늘어났다.
만경강에서는 큰입배스가 2009년에 상류부에서 18.5%로 전년도 4.1%보다 크게 늘고 중하류부에서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생태계교란 양서류 모니터링 주요결과, 황소개구리는 전 조사지역에서 잘 관리되는 상태를 보였다. 청주 무심천과 전남 하의도 저수지에서 2008년처럼 개체수가 작게 유지되어 잘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 저수지와 나주 저수지에서는 2008년에 비해 개체수가 각각 66%와 10%로 감소하였다.
※ 황소개구리는 무안과 나주 저수지에서 2007년보다 2008년에 출현개체수가 각각 25%와 115% 늘어났고, 신안 저수지와 청주 무심천에서는 2007년에 비하여 출현개체수가 93%와 87% 감소했다.
붉은귀거북은 전주 덕진연못을 제외한 조사지역에서 개체수가 적었다.
울산 태화강에서 2007, 2008, 2009년에 각각 27, 2, 3개체로 2008년 이후 잘 관리된 상태를 보였고 함평 대동저수지에서는 연도별로 각각 1, 3, 1개체로 개체수 출현이 미미
전주 덕진연못은 2007, 2008, 2009년 출현개체가 각각 15, 11, 25개체로 많은데, 수면을 연꽃이 덮은 공원 특성상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 2008년 조사에서 가물치가 서식하는 신안 저수지와 도시변의 청주 무심천에서는 황소개구리가, 도시변의 울산 태화강에서는 붉은귀거북이 감소했다.
생태계교란 식물 모니터링 주요결과, 단풍잎돼지풀은 파주, 부산, 고양, 인천 조사지에서 토지의 80-88%를 덮어 다른 풀의 생육이 크게 저해하고 알레르기성 꽃가루가 집중 발생되었다.
단풍잎돼지풀은 집중관리한 경기도 지역에서 하천변, 도로변, 산지주변에 집중확산되어 제거시 표토교란 방지 필수. 어린 시기에 집중 제거하고 대량 강우 전에는 제거를 피하며 식생과 표토보전 항목을 평가하여 생태계교란 방지
돼지풀은 연천, 남원, 전주 조사지에서 2008년에는 각각 48, 81, 58%의 토지를 덮었고, 2009년에는 각각 20, 88, 80%를 덮었다.
돼지풀은 경기도에 집중발생한 단풍잎돼지풀과 달리 전국에 산재
서양등골나물은 서울 월드컵공원, 남산공원 및 광주 남한산성에서 77-95%의 땅을 덮은 곳의 숲속 하층식생발달을 저해하였으나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지역에서는 크게 퇴조하였다.
도깨비가지는 화순, 영암, 화성, 제주의 조사지에서 31-91%의 땅을 덮어자라나 확산력이 낮아 집중제거로 관리가 가능하다.
털물참새피는 제주, 나주, 해남, 창녕 조사지에서 91-98%의 수면을 덮고, 물참새피는 고흥과 제주 조사지역에서 93-96%의 수면을 덮어 수생식물의 생육을 저해하여 걷어내는 등의 물리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생태계교란종 모니터링 방식 개발과 2010년 모니터링 계획 수립
생태계교란종의 전국 주요분포지를 생태계 유형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 분포면적, 확산양상, 피해 등의 정량적 모니터링방식을 수립하였다.
특정조사지점에 집중한 조사에서 도로와 하천변을 따라 선형 또는 면형으로 주요분포지를 전면 조사하는 방식으로 개편. 조사지역을 2009년 40곳에서 2010년 160곳으로 확대. 2009년에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된 가시박, 뉴트리아,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양미역취, 서양금혼초 등 6종을 추가하여 총 16종 모니터링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생태평가과
김명진 과장
032-560-7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