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봄맞이 농기계 점검·정비 철저 당부

수원--(뉴스와이어)--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빠뜨리지 말고 해야 할 일 중 하나가 바로 농기계 점검. 겨우내 묵혀놓았던 농기계를 그냥 사용했다가 고장으로 예기치 않은 수리비가 들어가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이에 농기계의 고장 없는 사용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농기계 점검, 정비요령을 발표하고, 철저한 점검과 정비를 당부했다.

주요 점검 및 정비요령을 살펴보면, 먼저 겨우내 장기 보관했던 농기계는 외부에 묻은 흙이나 먼지를 깨끗이 씻어내고 기름칠을 해준다. 윤활유가 필요한 곳은 정기점검 일람표에 따라 윤활유를 주입하고, 각 부위의 볼트, 너트가 풀린 곳은 없는지 확인한다.

다음으로, 엔진오일과 미션오일의 양 및 상태를 점검한다. 유량점검 게이지를 확인해 부족하면 보충하고, 오일 색깔이 검거나 점도가 낮으면 교환한다.

연료필터도 청소하거나 교환하고 연료탱크, 연료관, 연결부 등에 균열이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한다. 연료탱크 안에 침전물 등 오물이 있으면 깨끗이 씻어내고 연료를 채워둔다.

냉각수가 새는 곳이 없는지, 냉각수 양은 적당한지도 확인한다. 냉각수는 보조 물탱크의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에 있으면 정상이다. 에어크리너의 경우 건식은 엘리먼트의 오염상태를 보아 청소하거나 교환하고, 습식은 경유나 석유를 이용해 깨끗이 세척한다.

배터리 충전 및 단자 상태도 꼼꼼히 살펴본다. 충전상태는 배터리 윗면의 점검창을 통해 확인하고, 단자가 부식되었거나 흰색가루가 묻어 있을 경우 깨끗하게 청소하고 윤활유를 발라준다. 각종 전기배선 및 접속부, 전구, 퓨즈 등도 점검해 이상이 있으면 교환한다. 시동을 걸어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3∼4분간 난기운전을 하고, 이상이 없으면 배터리의 방전 유무 등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끝으로 농번기에 사용될 간단한 소모품이나 연료, 엔진오일 등은 사전에 확보해 둔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농기계 자가정비능력 향상을 위해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관리기 등 5종에 대한 점검·정비 정보를 국립농업과학원 홈페이지(www.nass.go.kr)‘농업기술기술정보포털→농업기계→농기계정비’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제공정보는 △점검정비 및 소모품 교환 △고장증상별 원인과 조치사항 △정기점검일람표 △보관요령으로, 동영상이나 사진을 보며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설명돼 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농업재해예방과
조광환 과장
031-290-193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