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행사성 경비 등 절감해 1천8백억원 ‘일자리창출 특별실행예산’ 편성

서울--(뉴스와이어)--오세훈 서울시장은 3.18(목) 일자리창출을 시정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여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 오던 일자리정책을 한 단계 격상시킨‘2단계 일자리창출 특별대책’을 발표하고 자치구·투자기관과 함께 행사성 경비 등 총 1,815억원의 예산을 절감해 하반기에 44,650개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오시장은 일자리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가운데 올해 6월 희망근로사업 종료 등에 따른 취약계층의 생활안정을 위해 하반기에도 상반기 수준의 공공일자리를 유지하는 한편 서울형 사회적기업 추가 발굴, 중소상공인 자금지원 확대 등 민간일자리 창출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하반기에 4만5천여개 일자리 추가 창출>

서울시는 하반기에 취약계층을 위한 생계보호형 일자리 15,200개, 지속가능한 민간일자리 16,750개 등 3만2천여개, 자치구 9,000개, 투자기관 3,700개 등 4만5천여개의 일자리를 추가 창출함으로써 올해 총 26만1천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서울시 공공일자리 사업의 경우‘그물망 복지 관련’일자리 5,660개,‘사회기반 시설 유지·보수’4,080개를 비롯해‘주민생활편의 증진사업’5,460개 등 15,20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든다.

공공일자리 제공 외에도 서울형 사회적기업 추가발굴·육성을 통해 1,400개, 풀뿌리 고용안전망을 유지하고 있는 소상공인 지원자금 7,000억원 확대를 통해 14,000개, 조기퇴직자 및 청년층 직업훈련 확대를 통해 1,350개 등 지속가능한 민간일자리 16,750개를 추가로 창출한다.

<자치구·투자기관 동참 소모성 경비 등 예산 대폭 절감, 1천 8백억 원 재원마련>

일자리창출에 필요한 재원은 서울시가 경상경비·행사성경비 절감을 통해 450억원, 사업조정 및 창의적예산 절감으로 570억원 등 1,020억을 확보하고, 자치구와 투자기관도 행사·축제성 경비 절감과 사업비 조정을 통해 각각 505억원, 290억원을 확보한다.

※ 서울시 재원확보 계획 (1,020억원, 특별실행예산편성·운영, 추후 추경 반영)
◆ 소모성 경상적 경비, 축제성 ·행사성 경비 절감 : 450억원
- 업무추진비, 여비 등 소모성경비 절감, 중복행사 폐지, 각종 축제프로그램 조정
◆ 기존사업조정 및 창의적 예산절감 : 570억원
- 원가분석 강화, 신공법도입으로 공사·용역 등 사업비 절감, 시급성이 떨어진 사업 조

<일자리정책, 市長이 직접 총괄, 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일자리창출대책본부 구성>

그동안 행정1부시장을 위원장으로 운영되던 <서울시 일자리협의회>는 위원장을 시장으로 격상하고, 경제단체·정부관계기관·인접시·도 등을 포함하여 일자리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협의기구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일자리창출 특별대책’의 총력추진을 위해 행정1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일자리창출대책본부’를 구성해 올해 12월까지 운영한다.

‘일자리창출대책본부’는 분야별 일자리 창출 총괄부서인 경영 기획실(투자·출연기관), 경쟁력강화본부(실·국·본부), 행정국(자치구)을 총괄 조정하고, 또한 일자리창출대책추진단장을 국장급으로 별도로 임명해 중장기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며 기관별·부서별 일자리창출 성과를 점검·평가하고 우수기관·부서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등 성과평가 시스템도 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쟁력강화본부 경제진흥관
일자리정책담당관 박대우
3707-937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