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터키 FTA 협상 출범

서울--(뉴스와이어)--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자페르 차을라얀(Zafer Çağlayan)’터키 대외무역담당 국무장관은 3.19(금) 앙카라에서 한·터키 통상장관회담을 갖고, 한·터키 FTA 협상 출범을 선언하였다.

양측은 상품뿐만 아니라 서비스·투자 및 여타 규범분야를 망라하는 포괄적이며 높은 수준의 FTA를 추진키로 하고, 제1차 한·터키 FTA 협상을 4.26(월)-4.30(금)간 앙카라에서 개최키로 합의하였다.

양측은 양국간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 체결시, 양국간 교역이 크게 증가하고, 에너지, 건설, 교통 등 여타 분야에까지 양국간 경제협력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양측은 터키의 한국전쟁 참전 이래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지속해온 양국 관계가 한·터키 FTA를 계기로 한층 더 공고해질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 하였다.

2008.9월∼2009.5월간 진행된 한·터키 FTA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공동연구는 한·터키 FTA가 양국의 실질 GDP, 후생, 수출·입 모두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FTA 협상의 추진을 양국 정부에 권고한 바 있다.

※ 공동연구 결과(KIEP)에 따르면 한·터키 FTA 체결시 우리측 2억8천만불, 터키측 2억5천만불의 후생증가 효과 및 우리측 0.03%, 터키측 0.13%의 실질 GDP 증가효과 기대

이후 양국 정부는 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절차를 추진하였으며, 우리 정부는 공청회 개최, 대외경제장관회의 의결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이번에 양국간 FTA 협상을 개시키로 최종 합의하였다.

터키는 7천2백만에 달하는 인구와 2004-2008년간 연평균 6% 이상의 안정적 경제성장 등 높은 시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 아시아, 중동 및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터키와의 FTA 체결시 양국간 교역·투자 확대와 더불어 주변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o 2009년 양국간 교역액은 31억불이며, 우리의 대터키 수출은 26.6억불, 수입은 4.4억불로서 22.2억불 흑자 (터키는 우리의 32대 수출국)

o 터키는 EU와 관세동맹을 형성하고 있으며, 크로아티아(2003), 이스라엘(1997), 모로코(2006) 등 12개국과 FTA를 체결하고 있고, 현재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GCC 등과 FTA 협상 중

외교부 개요
외교부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 UN 등 국제기구에 관한 외교, 대북한 정책, 의전 및 외빈 영접, 양자 및 다자간 조약, 외국과 문화 학술 교류 및 체육협력에 관한 정책, 재외국민의 보호 및 지원 등을 맡는 정부 부처다. 산하에 대사관과 영사관을 두고 있으며, 북핵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신설한 한반도평화교섭본부가 대북정책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mofa.go.kr

연락처

외교통상부 FTA협상총괄과
02-2100-0868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