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과정’ 운영 개시
- 지난해 큰 호응 얻어, 금년 전반기 1,500명 대상 운영, 23일 입학식
- 올해 기 수료자 대상 심화반 운영, 위탁대학도 4개에서 5개
지난해(’09년) 노숙인 등 저소득시민 1,643명이 신청하면서 출발부터 높은 관심과 기대 속에 시작된 인문학 강좌는 철학, 역사, 문학(글쓰기), 예술 등의 기본교과 강좌에 작가 신경숙 등 저명인사 특강(39회), 문화공연관람 등 체험학습(89회)을 함께 실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입학인원 중 73.6%(1,210명)라는 높은 수료율을 보였다.
수료자의 92%가 변화·성찰의 기회가 되었다고 설문조사 결과 응답했는데,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과정’이 잃었던 꿈을 되찾아 주고 새로운 인생을 설계해 주는 등 큰 희망과 용기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09년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과정’, 운영 성과
✜ 수강생들의 배움에 대한 열의와 새로운 삶에 대한 자활·자립 의지가 높음
‣ 과정 참여율이 73.6%로 ’08년(66.7%, 209명 졸업)에 비해 크게 상승
※수강생 반응이 큰 문화·예술 등 특강실시와 희망플러스 통장 등 서울형 복지 연계지원 효과
✜ 참여자 설문조사 결과 : 참여자 중 92.0%가 변화와 성찰이 되었다고 응답
‣ 가족구성원에 대한 애정, 긍정적 사고의 보유, 대인관계 향상 등 개인 생활의 변화 90.0%
‣ 사회에 대한 이해심이 생기고, 자원봉사 욕구 증가 등 사회성 향상에 기여 82.0%
‣ 글쓰기, 창작활동,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관심 등 학습욕구가 생김 61.1%
✜ 정부, 전국 지방자치단체 대상 벤치마킹 시달(보건복지가족부, ’09.5.8)
‣ “2009년도 지역사회서비스 청년창업단 지원사업”중 복지분야 사업으로 추천
‘서울시, 희망의 인문학 과정’은 지난해의 운영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한층 질 높은 교과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철학, 문학, 역사 등 인문학 중심의 강좌를 기본으로 하되, 경영·재무 컨설팅 등 실용경제 교과와 문화공연관람 등 현장체험 학습과정을 보다 강화하는 등 한층 업그레이드된 과정으로 운영된다.
또한 지난해와 같이 정규대학 수준의 수준 높은 인문학 강좌를 운영해 나가기 위하여 전문 교육기관을 선정 운영하는데, 지난해 4개 대학(경희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성공회대)에서 5개 대학(외국어대 추가)으로 확대 선정되었다.
특히 ’10년도 인문학 강좌는 지난해 참여한 졸업생을 대상으로 심화과정을 편성하여 수료자 재학습의 욕구를 충족시키게 된다.
아울러, 나머지 4개 대학에서도 대학별 입학식을 가질 계획으로 4월부터 6개월간 본격 수업에 들어간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희망의 인문학 과정과 같이, 단순히 현물중심이 아닌 근본적으로 빈곤을 극복할 수 있고, 가난의 대물림을 예방하는 서울형 그물망 복지정책 차원의 정신적 지원을 계속적으로 펼쳐 나갈 방침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복지국
자활지원과장 정운진
6360-4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