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한창 나이도 녹내장 ‘취약’…서울대학교병원 강남검진센터 수검자 조사결과
2009년 1월~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안과 권지원 교수)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수진자 중 녹내장선별을 위한 안저촬영을 받은 사람의 수는 20697명. 이 중에서 2% 인 413명이 새로이 녹내장 진단을 받았다. 이는 녹내장유병율이 2%라는 그동안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수치이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녹내장을 진단받은 수진자 413명 중 16.2 %인 67명이 30대로, 일반적으로 40대 이후에 걸린다는 녹내장에 30대도 취약하며, 따라서 30대부터 녹내장선별을 위한 조기검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에서 녹내장을 새로이 진단받은 30대 수진자들은 대부분 초기 녹내장이 아닌 진행된 녹내장으로, 발견된 순간 이미 상당수의 시야손실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다.
녹내장(glaucoma)이란 시신경의 장애로 시야(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가 점점 좁아지고 시력손상을 야기하여 결국에는 실명하게 되는 질환이다.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장애가 생기면, 시신경은 “보는” 신경이므로 시야결손과 함께 말기에는 시력을 상실하게 된다. 시야손상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시력 등에 영향을 주지 않아 자각증상이 없으므로 소리없는 실명의 원인이 된다.
시신경이 손상을 받는 원인 중에는 안압(눈 속의 압력으로 몸의 혈압에 해당)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통상적으로 정상안압은 10-21mmHg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안압은 하루에도 조금씩의 변동이 있게 되며,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 안압이 정상인데도 시신경이 손상받는 경우도 있고(정상안압녹내장), 안압은 높은데도 시신경에 아무 손상이 없는 경우(고안압증)도 있다.
녹내장 여부는 안압으로만은 알 수 없으므로 반드시 건강검진시의 안저촬영을 통한 시신경과 신경섬유층결손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정상안압녹내장은 안압은 정상범위이지만 환자 본인에게는 높은 안압이므로 정상범위에서 안압을 더 낮추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런 치료로는 약물치료(안약 점안)이 우선이며, 정기적인 검사로 시신경손상의 진행여부를 추적관찰해야 한다. 녹내장이란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누구나 생길 수 있지만, 특히 40세 이상에서 많으므로 40세 이후에는 반드시 녹내장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으며, 이번 연구에서처럼 30대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가능한 30대부터 녹내장선별검사를 받기를 권유한다.
요즈음은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30대에 녹내장진단을 받았을 경우, 지금까지 살아온 날보다, 앞으로 살아야 할 날이 더 많다. 같은 녹내장이라도 60대에 진단받은 것과30대에 진단받은 것이 같을 수 없는 이유이다. 젊은 나이에 진단된 경우 이미 손상이 심한 상태에서 발견된 경우가 많고, 또 진행도 노년층보다 빠르다. 생을 마치기 전에 실명할 가능성도 고령진단시보다 높다.
초기 녹내장은 증상이 없다. 녹내장치료의 목적은 녹내장진행을 멈추거나 늦추는 것이며, 이미 손상된 시신경은 원상회복할 수 없으므로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최선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개요
강남 파이낸스센터 38,39,40층에 위치한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는 서울대학교병원 교수진의 신뢰도 높은 진단능력과 정밀의료장비, 평생의무기록 통합관리, 편안한 시설 등을 통하여 한 차원 높은 정확한 조기 건강진단 시스템과 질병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개념의 통합맞춤 건강관리를 통하여 고객 한분 한분에게 맞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 질병의 예방, 건강유지 및 증진에 기여하여 건강장수 하실 수 있도록 전 교직원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편안한 건강진단과 만족스러운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웹사이트: http://healthcare.snuh.org
연락처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기획홍보팀 최희영
02-2112-5617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