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방화6재정비촉진구역 촉진계획 발표로 사업 추진 본격화
- 광장~공원~문화시설 연계한 지구내부를 순환하는 그린네트워크 조성
- 범죄예방 등 여성편의를 우선으로 하는 여성친화적 주거환경 만들어
이 일대는 인천공항-김포공항-방화뉴타운지구-마곡지구-도심을 연결하는 수도권 동서축을 형성하는 지역으로 특히 마곡개발지구가 사업 추진 중에 있고 서측으로 인천국제공항·김포공항이, 남측으로 발산택지개발지구, 북측으로 방화택지개발지구가 위치하는 등 입지 여건이 탁월한 지역임에도 불량주택이 밀집되어 있고 기반시설이 부족해 그동안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던 지역이다.
서울시는 ‘친환경 건강문화타운 조성’을 골자로 하는 방화6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을 발표하고 이곳에 지상 7~16층 아파트 10개동 527세대를 건립하고 방화6재정비촉진구역 외 나머지 8개 구역의 재정비가 완료되는 2020년에는 방화동 일대를 총7천3백여 세대가 거주하는 강서구의 주거중심지로 새롭게 조성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방화6재정비촉진구역은 단계별 사업추진에 따라 추진위원회 및 조합설립인가, 건축위원회 심의, 사업시행인가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되며 ‘09년 공공관리시범구역으로 선정되어 서울시 예산을 지원받아 ‘10. 4월부터 조합설립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주민설명회 개최, 예비임원 선출 등 본격적인 사업시행을 위한 첫발을 내딛게 된다.
방화6구역재정비촉진계획은 공항고도 제한(57.86m미만)구역으로 건축물 16층 이하로 계획하였으며, 소형주택 건설에 따른 완화된 용적률 237.09%를 적용하여 조성된다.
주거단지내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구역 내 공원조성과 연계되는 그린녹지 연결망을 구축하였으며, 방화로와 연결되는 구역의 주변 도로는 폭15m를 확보하여 인근 9호선 신방화역과 공항시장역 및 5호선 송정역을 도보로 연결하는 가로환경을 조성하였으며 건축배치는 탑상형, 연도형 등 다양한 건물을 배치하여 시각적 개방감과 주변 지형을 그대로 유지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사업이 진행중인 긴등마을정비구역과 방화6구역재정비촉진계획이 결정됨에 따라 나머지 7개구역과 함께 정비되면 기반시설이 개선되고, 특성화된 건축물이 들어서게 되어 불량주택 밀집지로 인식되었던 방화동 일대 이미지를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포공항 인접지역은 ‘공항복합타운’으로,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 주변은 마곡지구 개발계획과 연계하여 주상복합으로 개발되며 방화6구역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테마가 있는 주거단지와 안전을 고려한 친환경 ‘건강문화타운’으로 조성하여 강서구의 신 중심으로 친환경 고품격 주거지로 새롭게 변화하게 된다.
‘건강 문화타운’을 테마로 조성되는 친환경 고품격 주거지
방화6구역은 이제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테마가 있는 주거단지와 안전을 고려한 ‘친환경 건강문화타운’으로 조성되어 강서구의 신 중심으로 친환경 고품격 주거지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공원·녹지비율이 현재 0.2%에서 6.1%로 대폭 늘어나고 지하철 9호선 공항시장역 주변에 주민행사 및 공연·문화·축제의 장소(허준축제 등)인 근린광장과 문화시설과 연계하여 청소년을 위한 공연장 및 전시공간인 건강마당이 조성되며, 각 구역마다 특화된 성격을 가진 향기마당 등 어린이공원과 단지를 잇는 테마생활가로가 만들어진다.
<그린 네트워크 구축, 녹지율 확대 등으로 쾌적한 주거지로>
계획에 따르면 지구내 조성되는 공원을 순환형 녹지축으로 연결하고 보행자도로를 축으로 어린이공원-테마공원-완충녹지를 연결하는 그린네트워크(Green Network)를 구축해 친환경 주거단지를 조성하게 된다.
또한 생태면적율 향상, 옥상녹화, 벽면녹화 등이 추진되며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우수 저류시설 등이 조성되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녹지율 25%이상, 생태면적율 40% 이상을 확보하고 쾌적한 주거단지 조성을 위해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이 설치되며 침수예방을 위해 공원시설 지하에 우수 저류조 등을 설치한다.
<여성편의를 우선으로 하는 여성친화적 주거 공간으로>
아울러 서울시는 여성편의를 우선으로 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및 장애물 없는(Barrier Free) 생활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보육원, 스포츠센타, 교육센타 등 여성을 위한 복합 커뮤니티 시설을 만들고 쓰레기 배출시스템, 여성 휴게공간, 장애물 없는 보도조성 등을 통해 여성의 편익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여성 범죄예방을 위해 사각지대의 비상벨 설치, 조도 강화 등 지하주차장에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고, 가스배관 등에 침입방지시설을 설치한다. 또한 어린이 놀이터 우범화 방지 설계를 하며 유치원 등 어린이의 안전한 승하차를 위한 단지내 전용공간을 만든다.
<지구면적 30%를 문화시설, 광장 조성 등 기반 시설로>
지역 문화 및 복지 향상을 위하여 문화시설 등 3개소 신설, 학교시설 복합화, 지하철과 연계한 커뮤니티 조성, 지구 중심의 광장 설치 등 기반시설이 대폭 확충 된다.
사회복지시설, 공공청사, 문화시설 등 3개소가 신설되며, 학교시설(기존 중학교2) 일부를 복합화 하여 주민 여가 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지하철 역사와 연계하여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조성을 위해 지구중심부에 광장을 설치하는 등 지구 내 기반시설 확보율을 지구면적의 30.3%(기존25.8%)로 계획하고 있다.
서울시는 “방화 재정비촉진지구가 서울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미래지식 산업단지 및 국제업무단지로 조성되는 마곡지구와 연계하여 정비되면 서울 진입의 서부관문으로서 강서구 방화동 일대의 이미지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김포공항의 배후 주거 중심지로 새롭게 태어날 것" 이란 기대를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균형발전본부
뉴타운사업2담당관 구본균
2171-2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