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비율 40%대 진입, 일년 새 2.83% 올라
서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최고점이었던 2001년(3월 기준) 이후 8년 동안 비율이 꾸준히 줄었다. 2001년 당시 57.10%를 기록했던 전세비율은 2002년 53.48%, 2003년49.67%로 점차 줄었고, 이후 2007년(39.93%)에는 마침내 40%선이 무너지면서 2009년에는 38%로 비율이 낮아졌다. 하지만 지난 1년여 간 매매가가 4.98%(1,563만→1,641만 원) 상승한데 반해 전세가는 연간 12.79%(594만→670만 원)나 오르면서 현재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40.83%)은 40%를 넘어선 모습이다.
구별로 연간 전세비율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을은 서초구로, 전세비율이 일년 새5.19%(35.65→40.84%)가 오르면서 서울 25개 구 중 가장 오름폭이 컸다. 이어 강서구가 4.62%(37.05→41.68%)의 변동률을 기록해 전세비율 상승세에 일조했고 광진구 4.31%(37.80→42.12%), 강동구 4.08%(37.44→41.52%), 관악구 4.04%(42.59→46.63%) 등 한강이남 지역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서울 25개 구 중 전세비율이 40%를 넘은 지역은 모두 21개 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같은 시점에는 11개 지역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10개 지역이나 늘어난 것이다. 작년 매매가 대비 전세비율이 30%대에 머물렀던 강북구(42.86%), 노원구(42.58%), 성동구(42.21%), 광진구(42.12%), 도봉구(41.90%), 강서구(41.68%), 영등포구(41.62%), 강동구(41.52%), 마포구(41.40%), 서초구(40.84%) 등은 이번 해 모두 40% 위로 올라섰다.
한편, 구별 전세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관악구로 46.63%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중랑구(46.46%), 은평구(46.29%), 종로구(46.26%), 성북구(46.08%), 동대문구(46.04%), 서대문구(45.67%) 등 도심지역 주변 지역들의 전세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뱅크 이서호 연구원]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