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년된 택시승차대 전면 교체

- 기존 서울시내 423개 노후화된 승차대를 개선된 ‘서울시 표준형 승차대’로

- 이용도 낮은 곳에 설치된 승차대는 적정장소로 이전, 신규 설치장소 적극 발굴

- 표준형 택시승차대 설치 및 관리 대행 민간사업자 공개모집 추진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지난 2001년에 설치하여 노후화된 기존 택시승차대를 새로 개발된 서울시 표준형 택시승차대로 전면 교체해 나간다고 밝혔다.

기존의 택시승차대의 경우 설치된 지 10년이 경과되었고, 그동안 설치 위치의 적합성 문제 및 도시미관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등의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이를 전면적으로 교체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지난해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서울시 표준형 택시승차대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기존의 모든 택시승차대에 대하여 금년중에 모두 새로운 표준형 택시승차대로 교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택시승차대의 위치 적합성에 대해 시·자치구 합동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승객의 이용도가 떨어지는 등으로 부적합한 곳의 택시승차대는 적합한 곳으로의 이전을 추진하고, 추가 설치가 가능한 장소는 새롭게 발굴하여 추가 설치를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내 택시승차대는 모두 423개소이며, 이 가운데 무교동 등 12개소의 택시승차대는 이미 지난해 표준형 택시승차대로 시범적으로 교체·완료한 바 있다.

특히, 금년은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고, ‘한국방문의 해’ 로 외국인들이 서울을 많이 찾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택시승차대 전면 개선을 계기로 서울의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그동안 택시승차대는 상위법령의 근거가 없어 지자체에서 추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하철 역 입구, 횡단보도 인근 등 택시운전자 및 택시이용 승객들에게 실질적으로 택시승차대가 필요한 장소는 교통흐름을 저해한다는 이유 등으로 지자체에서 독자적으로 택시승차대를 설치·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택시승차대 설치가 가능한 장소를 찾다보니 결과적으로 외진 곳 등 실질적으로 택시승차대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악순환이 계속되어 왔다.

이에 서울시는 택시승차대의 제도화를 위해 국토해양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으며, 그간의 노력의 결과로 지난해 ’09.12. 2부로 택시승차대 관련사항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 새롭게 규정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택시승차대를 설치·추진에 한결 탄력을 받게 되었다.

서울시는 기존 택시승차대와 신규 설치 가능 후보지에 대하여 2010.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 동안 시·자치구 합동으로 점검반을 편성하여 기존의 택시승차대 및 신규로 설치할 택시승차대 실태에 대해 일제 전수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빈 택시가 상시 3대이상 승객을 대기하고 있거나, 택시이용 수요가 많은 지하철 역 입구, 주요 건물앞 등을 집중적으로 발굴하여 경찰측과 긴밀히 협조하여 교통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택시승차대를 확충토록 하고, 특히, 중앙 버스정류소가 설치되어 폐쇄된 기존 가로변 버스정류소, 버스베이 등에 택시승차대를 추가로 설치하여 택시대기공간을 마련하는 등으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G20 정상회의 개최 예정지인 코엑스 및 플로팅 아일랜드가 위치한 강남구, 서초구 및 도심권을 중심으로 우선적인 교체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표준형 택시승차대 설치 및 관리를 대행할 민간사업자를 공모·선정할 계획이다.

표준형 택시승차대 설치·관리를 희망하는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공모를 접수한 후, 학계·전문가, 시민단체, 택시업계 대표 등으로 위탁업체 선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표준형 택시승차대 설치를 담당할 민간위탁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서울시는 택시승차대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하여 택시승차대가 택시이용 시민과 택시 운전자 모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택시 승하차 편의시설로서 역할을 수행토록 하고, 택시승차대가 더욱 더 깨끗하고 세련되어 서울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울의 도시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해 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운수물류담당관 김홍국
3707-975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