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 통신사업자용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 출시
이번에 출시된 ‘웹로직 네트워크 게이트키퍼’는 문자메시지(SMS)·멀티미디어메시징서비스(MMS) 및 과금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통신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고 실행하기 위한 단일 기점이 되는 제품으로 네트워크 자원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업체(CP)들로부터 핵심 네트워크를 보호·관리한다.
또한 표준 기반의 통신 웹서비스 기술을 활용해 메시징·위치 서비스 및 상태정보 등과 같은 핵심적인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정책 기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래픽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네트워크의 과부화와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더불어 일반 사용자들은 ‘웹로직 네트워크 게이트키퍼’가 제공하는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BEA 시스템즈 코리아의 김용대 사장은 “통신 시장은 전통적인 전화 서비스를 넘어 확대됨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새로운 컨텐츠 및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제공해야만 한다”면서 “이번에 출시된 웹로직 네트워크 게이트키퍼는 IP 텔레포니·인스턴트 메시징 및 게임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속하게 구현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가입자 당 매출(ARPU: Average Revenue Per Use) 뿐만 아니라 고객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출시된 ‘웹로직 네트워크 게이트키퍼’는 J2EE 기반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애플리케이션 서버인 ‘웹로직 SIP 서버(WebLogic SIP Server)’와 함께 BEA가 최근 발표한 통신용 통합 플랫폼인 ‘웹로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구성하는 주요 제품이다. 이로써 BEA는 IT와 통신의 융합을 실현하는 통신사업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웹로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bea.com/products/weblogic/wlcom/ 에서 얻을 수 있다.
‘BEA 웹로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은 통신사업에 특화된 제품 및 솔루션으로 구성된 표준 기반 통합 스위트로, 통신사업자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음성·데이터·모바일의 통합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구현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제공한다. BEA ‘웹로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은 ‘웹로직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와 ‘웹로직 네트워크 게이트키퍼’로 구성되어 있다.
‘BEA의 웹로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은 검증된 표준과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통신 네트워크를 추상화하고 IT 개발자가 서비스 생산을 가속화하고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액세스 수단 및 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이용해 통신 서비스 운영자는 네트워크 자원의 내부 응용 프로그램, 외부 컨텐츠 제공업체, 개발자가 제공한 여러 서비스를 장착해서 ‘트리플 플레이(음성, 데이터, 비디오)’, 실시간 멀티미디어, 양방향 대화형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생성, 전송,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웹사이트: http://www.bea.co.kr
연락처
이민경 7676-838 / 브라이먼 커뮤니케이션스 임유성 팀장 016-702-0755
이 보도자료는 BEA시스템즈코리아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08년 5월 7일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