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교동 고분에서 1,500년 전 은제허리띠 완형 출토

대전--(뉴스와이어)--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오는 4월 7일 오전 11시 창녕 교동고분군 주차장 정비구역 내 발굴조사 현장에서 자문회의를 개최한다.

창녕 교동고분군(사적 제80호) 발굴조사는 1918~19년 일제강점기(9기 조사) 및 1992년 동아대학교 발굴(5기 조사) 이후 18년 만에 실시한 것으로, 창녕군이 ‘교동고분군 주차장 정비사업’ 진행 중에 무덤이 있음을 확인, 유적 보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2009년 10월 21일부터 발굴조사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봉분 지름 19m에 이르는 중대형의 앞트기식 돌방무덤(橫口式石室墳) 1기와 조선시대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이 무덤은 장축이 6.7m에 이르는 세장방형(細長方形)으로, 유물부장칸과 시상대(시신안치), 순장공간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 무덤의 주인공은 관옥, 은제허리띠와 고리자루큰칼을 차고 있었으며, 부장칸에는 각종 토기류, 마구류 및 순장인골편 등이 출토되어 고대 매장의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특히 은제허리띠와 장식은 완형이 세트로 출토되어 출토 예가 드문 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한편, 무덤 서쪽에는 조선시대 후기(18∼19C)에 조성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지 아래에는 기와를 바닥 전면(길이 4m, 폭 1.5m)에 깐 구조가 확인되었는데, 서편에는 완형의 암키와를 방형으로 구획하는 등 특수용도의 시설로 보인다. 현재 이곳은 고분군 정중앙 대형고분 남쪽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조성된 고분 제사 관련 시설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조사된 무덤은 조선시대 때 이미 봉분이 유실되어 일제강점기 조사에서는 인지되지 않았다. 따라서 머리쪽에 일부 교란된 것 이외에는 도굴의 피해가 적어 대부분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

이번에 출토된 은제허리띠·장식은 창녕지역에서 교동 7호분 출토품 등 총 15건이 알려져 있으며 1918년, 1967~8년 발굴에서 출토된 이후 43년 만에 완형이 세트로 출토되었다. 허리띠는 교동 <동아대발굴> 1호분과 같은 형식으로 창녕에서 가장 이른 형식에 속하며, 무덤의 시기는 5세기 중반 이후로 편년된다.

주인공이 장착한 은제허리띠와 고리자루큰칼 등은 경주 신라고분에서 주로 출토되는 것과 동일한 형식으로 위세관계 연구 자료로 활용 가치가 크며, 신라 세력의 진출과 기존 가야세력과의 역학 관계를 구명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발굴현장은 일반인이 관람할 수 있도록 3회에 걸쳐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 일반인을 위한 현장 공개 설명회
○ 일 시 : 2010년 4월 8일(목), 9일(금), 10일(토) 15:00-16:00(총 3회 개최)
○ 장 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창녕박물관 및 발굴조사현장
※ 창녕박물관 강당에서 발굴사진 관람 후 현장 이동
○ 문 의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055-285-1315)
○ 담 당 : 이은석 학예연구실장·정인태 학예연구사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055-285-131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