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보급돈 ‘축진듀록’ 활용도 우수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2009년 우수정액등 처리업체(돼지 우수 인공수정센터)에 보급한 ‘축진듀록’의 활용현황 설문조사 결과, 정액생산량도 우수하며, 강건성, 체형 및 농장적응력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2009년 11월, 수요조사를 통해 돼지 우수정액등 처리업체 14개소에 ‘축진듀록’ 수컷 30두를 보급했으며, 이 조사는 보급돈에 대한 정액사용현황, 활용의견 등을 파악해 국립축산과학원 보유돈군의 보완과 지속적인 개량을 위해 이루어졌다.

설문에 응한 총 8개소 돼지우수인공수정센터 조사결과, 인수두수 22두의 평균 활용일수는 81일로, 265회 정액채취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됐으며, 총 공급한 정액량은 3,121두분으로 회당 12두분의 정액을 생산한 것으로 조사되어 보급돈의 정액생산과 활용이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급돈의 만족도 조사결과, 대부분의 돼지 우수인공수정센터가 매우 우수, 우수하다고 답해 보급돈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보급돈의 능력과 체형 등에 대해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개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돼지인공수정센터에서 선호하는 형질에 대한 조사결과, 성장능력이나 다리, 강건성 등을 중요시해, 종돈 선발시 이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라승용 원장은 “보급돈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형질이나 능력 면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종돈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수요자 지향적 종돈개량의 과정이며, 종돈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우리 종돈산업을 지킬 수 있는 길”임을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양돈과
김인철 과장
041-580-344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