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BRP) 융자지원프로그램 인기 만점
-LS용산타워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추진으로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17.8% 절감효과로 매년 약 16억원 전기요금 절약
- 민간 건물 2014년까지 2,000개소 BRP 추진을 위하여 기후변화기금 2,200억원 조성 매년 300억원 융자지원
5억원의 융자지원을 받은 중구 을지로 6가 ‘동대문밀레오레 상가 LED조명 교체공사’의 경우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 동안 조명 전력의 32.6% 절감효과로 전기요금 1억9,506만원을 절약한 바 있으며 2008년 5억원, 2009년 5억원 총 10억원의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지원을 받은 용산구 한강로 2가 ‘LS용산타워 리모델링 공사’의 경우 전체 에너지사용량의 17.8% 절감효과로 공사 완공 후 전기요금을 매년 약 16억원을 절약하게 될 예정이다.
(주)LS네트웍스(대표자 이대훈)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추진 박정목 팀장은 “서울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 프로그램에 의해 고효율 조명, 건물자동화제어장치,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냉·난방 효율향상공사, 단열필림 설치 등 7개 항목의 에너지 절약시설 설치로 매년 약 16억원을 절약하게 되어 회사 직원으로부터 업무 추진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는 이마트 5개점(은평점, 가양점, 명일점, 성수점, 월계점)과 조선호텔에 대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추진 성과를 인정받아 2009년 서울특별시환경상을 수상하였다.
서울시는 2009년 민간부문 건물에너지합리화 추진사업 42건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금년 5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민간부문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확산>
서울시는 민간부문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만족조 조사결과를 반영 2014년까지 민간 건물 2,000개소에 대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추진을 위하여 기후변화기금 2,200억원을 조성 매년 300억원을 저리로 융자 지원한다.
지난 2년간 민간 건물 50개소에 대하여 기후변화기금 180억원을 융자 지원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을 추진하여 매년 에너지사용량의 10.8%인 3,847TOE를 절감하고 있으며 2014년까지 매년 기후변화기금 300억원을 저리로 융자 지원하여 민간 건물 2,000개소를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7개소 20억원 융자 신청되었으며, 문의가 계속되고 있어 목표 금액인 300억원 지원이 조기에 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국내외 평가>
서울시의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선도적 추진성과는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5월 개최된 제3차 C40 서울정상회의시 CCI(클린턴재단)에서 서울을 BRP “Leading City”로 평가한 바 있으며, 또한 지난해 12월에는 지식경제부에서 “전력수요관리사업 우수기관”으를 선정하였으며, 코펜하겐 "시장단기후정상회의“시 우수사례로 발표한 바 있다.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지원>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지원은 사업내용과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한다. 건물에너지합리사업 융자지원 기준은 사업내용에 따라 4단계로 분류 하여 일반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은 최대 10억원, 리모델링 연계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은 최대 20억원까지 지원된다.
융자조건은 연리 3%, 3년이내 거치 가능 8년 분할상환이다.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지원 절차는 신청자(건물주)가 융자승인 신청서를 소정의 양식에 의거 작성하여 서울시(녹색환경정책담당관)에 제출하면 매월 2회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융자 심의위원회’에서 융자신청 사업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심의하고 금융기관의 대출(신용) 심사를 거쳐 융자를 지원한다.
서울시 권혁소 맑은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앞으로 BRP사업을 상업용 빌딩뿐만 아니라 주거용 건물에도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BRP, Building Retrofit Project)
“건물의 에너지 손실과 비효율적 요인을 개선하기위해 시설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업”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맑은환경본부 녹색환경정책담당관
과장 김영성
2115-7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