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특허정보화시스템, 인도네시아로 수출
고정식 특허청장은 13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특허청에서 앤디 소멩 인도네시아 특허청장과 4,000만 달러 규모의 인도네시아 특허정보화시스템 구축 지원을 위한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양국 특허청장은 한국 특허청의 정보화 기술을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특허정보화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합의하고,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태스크포스(TF) 구성 및 시스템 운영을 위한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 특허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정부의 유상차관인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지원받아 한국 특허청의 “특허넷”을 모델로 자국의 특허정보화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성과는 우리 정부의 신아시아 구상의 주요 협력대상국인 인도네시아가 특허정보화 분야에서 한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온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다.
고정식 특허청장은 “동 사업은 인도네시아가 지식기반 사회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한국의 다양한 지재권 성장 경험 및 성공사례를 전파하기 위한 협력사업이 계속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특허넷 인도네시아 수출은 한국특허청의 앞선 특허행정정보화수준을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SI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모델로 정착되어 향후 한-인도네시아 타분야 경제협력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특허청은 선진 5개국 특허청간 특허업무의 정보화 기반구축사업에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해 왔고, PCT 국제특허출원시스템(PCT-ROAD)*을 개발하여 28개국에 보급하는 등 지재권 정보화 분야에서 글로벌 특허청으로서 역량을 강화해 왔다.
특허청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전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아 온 특허넷을 특정 국가에 수출하는 제1호 모델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며 "이를 계기로 특허넷 기반기술을 타 국가로 확산시켜 세계 특허정보화 분야의 표준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이라고 말했다.
*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 개도국들의 산업발전과 경제안정을 지원하고 이들 국가와의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우리나라 정부가 설립한 기금. 원조성 유상 차관으로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에 속함
** 선진 5개국 특허청 협력체제로 전 세계 특허출원의 80%를 차지하는 한, 미, 일, 유럽, 중국 등 5개국이 국제공조를 통해 특허심사의 효율성과 품질제고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2008년 10월 제주 IP5 청장회의를 통해 공식 출범
*** PCT-ROAD(PCT-Receiving Office ADministration system)은 PCT 국제특허를 접수·처리·관리하는 One Stop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정보기획국 정보협력팀
서기관 김영표
042-481-5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