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국패션디자이너 세계 진출 프로젝트 본격가동

- 매년 3개 도시별 대표 디자이너 Top10 선발, 2020년까지 총270명 글로벌 진출

- 금년 첫 번째 파리진출 프로젝트 ‘Seoul's 10 Soul’ 참여 디자이너 선정완료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는 올해를 ‘글로벌 패션브랜드 육성사업’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국내 패션브랜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와 글로벌 브랜드 탄생을 목표로 한 ‘2020 한국패션의 세계화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 매년 3개 도시별 우수 디자이너 Top10 선발, 2020년까지 글로벌 진출 270명 >

서울시는 지난 10년간 20회에 걸친 서울패션위크와 신진디자이너 양성 등 다양한 패션산업 육성정책을 통해 재능있는 우수 디자이너 발굴과 고부가가치 패션브랜드를 통한 해외수출 실적 증가 등의 추진 성과가 가시화됨에 따라, 금년부터 한국 패션의 세계화 정책을 본격 추진하여 2020년까지 파리, 런던, 뉴욕 3개 도시별 매년 10명씩 총270명의 국내브랜드를 글로벌 시장에 진출시켜 샤넬·루이비통 등과 같은 글로벌 패션브랜드 3개사를 탄생시키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금년부터 서울패션위크에 참여하는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공정한 심사시스템을 통해 매년 우수 디자이너 Top10을 선발한 후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한편, 사전사후 평가시스템을 적용하여 지속 지원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며, 연차적으로 파리를 시작으로 하여 런던, 뉴욕 등 글로벌 진출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매년 스타디자이너를 선발하여 다음해 1년 동안 현지활동을 위한 현지 최대 PR회사의 홍보, 최대 쇼룸의 입점 등 글로벌 패션브랜드로의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전폭적인 지원과 혜택을 제공할 계획으로 올해는 시범적으로 1명을 선발할 계획이며, 2012년부터 매년 선발인원의 50%에 대하여 풀옵션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Seoul's 10 Soul 프로젝트″가동, 금년 우수 디자이너 10명 선정 >

서울시는 글로벌 패션브랜드 육성사업 원년인 금년에는 유럽 패션의 메카인 프랑스 파리를 전략 시장으로 정하고, 첫번째로 서울대표 디자이너 Top10을 선발하였다.

이번에 선발된 서울대표 디자이너 10명이 향후 10년간 한국패션을 세계정상으로 이끌어나갈 디자이너라는 상징적인 의미로 프로젝트명을 ″Seoul's 10 Soul″로 정하였다.

서울시는 지난 3.26~4.1까지 개최된 “2010 춘계 서울패션위크”에 참가한 150여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공모와 평가절차를 거쳤다.

150여명의 춘계패션위크 참가 디자이너중 해외진출 희망자를 모집한 결과 47명의 디자이너가 신청하였고, 1차로 7명의 국내심사단 대상 서류심사를 거쳐 32명의 디자이너를 선정하였으며, 2차로 파리 현지의 유명PR, 쇼룸, 프레스, 바이어 등 해외전문가 9명이 서울컬렉션, 프리젠테이션쇼를 통한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10명의 디자이너를 선정하게 되었다.

1차 심사 기준은 국내사업현황 및 활동경력, 해외진출 현황, 유통망 확보상황 및 수주물량 생산시스템 보유 현황 등이며, 2차에서는 현지시장 적합성 및 글로벌 경쟁력을 심사기준으로 삼았다.

최종 선정된 Top 10의 우수 디자이너(Seoul's 10 Soul)는 다음과 같다.

- 남성복 : 강동준, 신재희, 최범석
- 여성복 : 김재현, 송자인, 이석태, 이승희, 주효순, 최지형, 홍혜진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성공열쇠는 해외 시장에서 성공 가능한 우수 디자이너 선발이 관건. 서울시가 현지 패션마켓에 가장 적합한 디자이너를 선정할 수 있는 해외 유력 바이어와 프레스 등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하는데 가장 심혈을 기울인 이유다.

<선정 디자이너 사전홍보마케팅에서 트라노이 전시 참가까지 전폭 지원>

선정된 10명의 디자이너는 파리에서 개최되는 유명 트레이드쇼 ‘트라노이(TRANOI)’ 참가와 10월에 파리에서 개최하는 ‘Seoul's 10 Soul 컬렉션’에 참가할 기회를 갖게 된다.

트라노이는 파리컬렉션 기간중 파리시내 루브르박물관 등 4개소에서 개최되는 오랜 전통의 트레이드쇼로 남성복은 1월·7월, 여성복은 3월· 10월 등 연4회에 걸쳐 개최되며 시즌별 남성복 120개, 여성복 300개의 업체가 참가하고 시즌별 9,000여명의 해외바이어가 대거 참가한다.

파리컬렉션 등 ‘해외컬렉션’이 디자이너별로 프레스, 바이어, VIP 등을 초청하여 패션쇼를 개최하고 직접적인 홍보·마케팅 활동은 각각의 PR사와 쇼룸 에이전트를 통해 진행하는 것과 달리 ‘트레이드쇼’는 제품의 실질적인 오더와 바잉이 현장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는 실질적인 마켓이라는 비즈니스 측면의 강점이 있다.

또한 트라노이는 서울패션위크 참가업체의 가격과 제품군 특성에 부합하는 고품격의 디자이너 브랜드 트레이드쇼라는 점이 서울시가 트라노이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다. 그동안 진입장벽이 까다로워 국내 디자이너의 진출 사례가 드물었으나, 이번 트라노이에 참가하는 10명의 국내 디자이너 브랜드의 진출은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우수한 능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금년에 선발된 디자이너중 남성복 3명은 6월에, 여성복 7명은 10월에 트라노이 전시장에 차려지는‘서울관’내에 개별적으로 쇼룸부스 제공과 별도 수주 전문 비즈니스쇼 개최까지 전폭 지원하게 되며 현지 PR 및 쇼룸활용을 통한 100% 현지화 전략을 추진한다.

이외에도 트라노이 참가에 앞서 추계 파리컬렉션과 연계하여 파리 현지에서 10명의 디자이너들이 참여하는 Seoul`s 10 Soul Collection 개최로 사전 붐업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10월 트레이드쇼 참가 기간중 현지전문가 등에 의해 선발되는 최종 1인의 스타 디자이너에게는 2011년 1년 동안 파리 현지의 최대 패션브랜드 PR회사인 토템(TOTEM)의 홍보, 최대 쇼룸의 입점, 파리컬렉션 개최 등의 기회가 주어진다.

한편, 트라노이에서 추천하는 파리디자이너 10여명이 금년 10월에 개최되는 추계 서울패션위크 패션페어에 참가하여 상호 교류의 기회를 갖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양 도시간 디자이너 교류를 통한 정보교환은 물론 ‘트라노이’와 같은 세계 최고의 트레이드쇼의 총괄적인 시스템(페어장 구성, 해외 비즈니스 역량 등)에 대한 벤치마킹이 가능한 의미있는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트라노이 대표 미카엘 하디다(Michael Hadida)는 “2~3년전부터 서울패션위크 참가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을 지켜봤으며, 서울 패션 디자이너들의 파리 성장 잠재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가져왔다. 무엇보다 서울시의 글로벌 브랜드 육성정책에 대한 의지와 열정을 통해 이번 사업의 참여를 결정하게 되었다 ”고 참가 배경을 설명했다.

<트라노이 개요>
· 시작연도 : 1993년(Paris)
· 개최일정 : 연4회(남성복:1,7월/여성복3,10월)
· 개최장소 : 루브르박물관 등 4개소
· 개최규모 : 시즌별 남성복120개, 여성복300개
해외바이어 시즌별 9,000여명

< 서울시 대표단 이에르 페스티벌 참가, 사전홍보 프로모션 추진 >

서울시가 파리 트라노이 참가에 앞서 서울시 국장급 간부를 단장으로 한 대표단을 구성,‘이에르(HYERES) 페스티벌’에 참가하여 글로벌 브랜드 육성 프로젝트에 대한 사전 프로모션을 진행할 계획이다. “어매이징 코리아”란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한편, 서울의 밤 행사를 열고 “Seoul's 10 Soul"이란 타이틀로 10인의 우수 디자이너를 소개할 예정이다. 이는 4월 30일부터 5월 2일 사이에 이에르 현지에서 진행된다.

이에르 패션페스티벌은 매년 5월 프랑스 남부도시 이에르에서 개최되는 패션·사진 국제 페스티벌로 금년으로 25회를 맞는 패션과 전시를 통한 사진, 아트, 디자인을 넘나드는 종합적인 아트행사이다.

서울시는‘트라노이’에 앞서 이에르 페스티벌 참가를 통해 서울의 우수한 10인의 디자이너(Seoul's 10 Soul) 브랜드의 구체성을 알리는 등현지 미디어에 바이럴 마케팅(입소문) 기회를 확보하고, 패션산업 육성을 위한 서울시 정책과 ‘세계패션 도시, 서울’의 이미지를 세계 속에 알릴 좋은 기회로 보고 있다.

이 행사가 주목되는 이유는 파리의상조합협회장 디디에 그랑박 (Didier Grumbach)이 주최하고, 토템(TOTEM) 대표인 Kuki de Salvertes,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의 Rebecca Voight, 패션데일리 뉴스의 편집장인 Jean Paul Cauvin 등 세계패션계 저명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기 때문이다.

최항도 서울시 경쟁력강화본부장은 “2010 글로벌 패션브랜드 육성 원년을 기점으로 한국 대표 패션 디자이너들의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현지화 마케팅 전략은 물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쟁력강화본부
문화산업담당관 마채숙
2171-241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