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블랙홀, 배관 속의 숨은 도둑을 잡아라”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일러 배관에 침적되는 스케일로 인해 추가로 소비되는 에너지가 8.2%에 이른다고 하는데, 여기에 스케일로 인해 유발되는 부식에 의한 유지보수 비용까지 고려하면 손해액은 연간 총 에너지 비용의 4%에 이른다고 한다. 따라서 배관 속의 숨은 에너지 도둑인 스케일의 처리 내지 예방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특허청(청장 고정식) 자료에 의하면, 배관 내 스케일 처리에 관련된 특허출원은 80년대 초에서 90년대 말까지는 매년 5건 내외였으나 1999년부터 2008년까지는 매년 10~20건씩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관 내에 생긴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크게 화학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이 있는데, 화학적 방법으로는 이미 생긴 스케일을 제거하는 세정제나 스케일 발생 방지제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물리적 방법으로는 침적된 스케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과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자기장을 걸어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스케일이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출원 건수로 보면, 물리적인 처리방법이 전체 출원 건수의 90% 이상을 차지하는데 그중 배관 속의 스케일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출원이 약 74%를 차지하고, 배관 외부에서 초음파를 조사하거나 자기장을 거는 등의 비접촉식 처리방법에 관한 출원이 약 26%를 차지하고 있으나 90년대 후반부터는 초음파 등의 비접촉식 처리 기술 출원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화학적 방법은 전체 출원의 10% 미만으로, 90년대 후반에 연구가 시작되어 아직은 초보 단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부의 10%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노력과 더불어 배관 속 어두운 곳에서 블랙홀처럼 빨려 나가는 4%의 에너지를 스케일이라는 도둑으로부터 지켜내려는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화학소재심사과
사무관 박함용
042-481-8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