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사전시관, 1960년대 생활 유물전 ‘서울로 간 순이’ 전 개최
‘서울로 간 순이’展은 1960년대 도시화,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농촌 소녀들이 도시 저임금 노동자등으로 진입하면서 사회활동이 크게 늘었지만, 사무직 여성조차도 ‘결혼하면 퇴직한다’는 서약서를 쓰고 입사하던 때의 삶과 문화를 재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서울로 간 순이’展은 유물 전시, 문화체험, 구술사 등으로 구성되며, ‘서울로 간 순이’에게 편지를 써보는 참여 코너를 통해 여성의 삶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게 하고, ‘순이’의 서울길 길목마다 전시내용을 담은 스탬프 찍기 등 전시기념품을 남길 수 있는 코너도 있다.
전시물 중에 산아제한캠페인용 ‘가족계획 포스터’, 농촌에서 생산량을 독려하던 ‘우리집 증산목표 계획서’, “오라이”를 외치던 버스차장의 ‘돈가방’ 등이 눈에 띈다.
또, 당시의 생활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신문·잡지·사진자료와 구술사를 통해 동생 학비, 부모님 생활비를 위해 희생했던 당시 여성노동자들의 애환을 엿볼 수 있다.
<‘서울로 간 순이’展 구성내용>
ㅇ 1960년대를 읽을 수 있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그려진 개요도
ㅇ 유물 전시- 버6스차장 돈가방이나 방문판매 화장품 사원의 제복과 가방, 식모가 애용하던 장바구니, ‘우리집 증산목표’ 계획서, 가족계획 포스터 등
ㅇ 60년대에 생산된 유물 TV를 통해 당시의 상업문화, 소비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ㅇ 가요와 영화 등 당시의 대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
ㅇ 버스차장, 화장품 판매사원, 식모, 여성농민 등 그 당시 일하던 여성들의 구술사
또한, 전시를 시작하는 16일 오후 5시에는 ‘서울로 온 순이들에 대한 기억’이란 제목으로 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에서는 65학번인 동국대 사회학과 조은 교수와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이혜경 집행위원장, 그리고 ’60년대 서울로 상경한 여성노동자 이영자‘씨가 그 시대 여성들의 삶에 대한 기억을 불러내어 현재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란 주제와 어떤 맥락이 닿아있는지 관람객과 함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관람객들이 보리 혼식을 장려하던 60년대를 기억하며 요기할 수 있도록 쌀·보리 혼식 주먹밥을 준비한다.
2010년의 ‘일과 가정의 양립’이란 주제 아래 기획된 ‘서울로 간 순이’展에 이어서, 6월과 9월에는 예비워킹맘 세대의 고민과 통찰을 담은 기획전시와 특별전시를 통해 일·가정 양립에 대한 모색을 담을 예정이다.
이번 오픈 행사에 참석한 여성가족부 김교식 차관은 “사라져가는 여성의 삶을 담은 자료를 적극 발굴하고 재해석하여 여성으로서 자긍심을 높이고 우리사회의 성평등 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여성가족부 개요
여성정책과 가족정책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로 2001년에 설립됐다. 주요업무는 여성정책 기획 및 종합,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 평가, 가족폭력 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여성 인력의 개발과 활용, 성 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여성단체 및 국제기구와 협력 등이다. 기획조정실, 여성정책국, 청소년가족정책실, 권익증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gef.go.kr
연락처
여성정책국 성별영향평가과
사무관 이금순
2075-4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