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 대형고분’정밀 발굴조사 착수
영암 장동고분은 그 구조와 성격에 대한 학술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1986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된 이후 분구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졌으나 인접지역이 지속적으로 경작지로 이용되면서 훼손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에 지난 2009년 나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주구(周溝, 고분 주위를 두르는 도랑)의 범위파악 등을 위한 긴급 발굴조사가 시행된 바 있다.
2009년의 조사는 고분의 규모 및 형태, 주구의 잔존 여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약 20일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분구 규모는 남북 36.57m, 동서 30.98m의 방형의 형태를 띠고, 주구는 너비 5m, 잔존 깊이 1.5m 내외로 상당히 잘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쪽 주구 시굴갱 내에서는 일본에서 하니와 (고분 내외부에 열 지어 세워놓는 의식용 토기)로 불리는 완형(完形)의 원통형토기 2점이 출토되었는데 국내 다른 유적 출토품뿐 아니라 일본 하니와에서 조차 같은 형태를 찾아보기 힘들어 중요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장동고분의 분구 형태와 규모, 출토유물 등은 옹관 고분의 표지적 유적인 신촌리 9호분과 비견될 수 있어 영산강유역 고총고분 축조세력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유적이라 판단되며, 영암 소재 고분에 대한 1980년대 발굴조사 이래 첫 대형분의 발굴로 영암지역 고분연구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사는 2009년도의 제한된 조사로 파악하지 못한 분구의 축조방법 및 규모, 분구와 주구와의 관계, 매장주체부의 종류, 원통형토기의 출토양상 등 유적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한 정밀 발굴조사로 올해 10월까지 실시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061-337-9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