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중심은 남산 정상
- 서울시 행정구역의 지리적 중심점 산출결과 남산 정상부로 밝혀내
- 남산 정상부 측량기준점(2등 삼각점)과 연계 설치로 경관개선
서울시민 대다수가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도로원표를 서울의 중심점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1914년 일제강점기 때 현 광화문 네거리에 한반도 18개 도시의 거리가 표시된 표석을 설치한 것으로 서울의 중심점은 아니다.
현재 종로구 인사동 194-4(하나로 빌딩 1층)에 1896년 설치한 중심점이 있으나 이는 조선시대 당시의 기준점으로, 그 이후 급격한 변화를 겪은 서울의 행정구역 변천 등 역사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에서 2008년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을 산출하여 최첨단 GPS측량을 실시하여 남산 정상부의 중심점 위치를 밝혀냈다.
<25개 자치구에서도 우리고장 중심점 찾아내>
서울시는 서울의 지리적 중심점 뿐만 아니라 25개 자치구의 중심점도 찾아 나섰다. 2008년부터 ‘우리고장 중심점 찾기 프로젝트’를 통하여 각 자치구의 행정구역 경계에 의한 지리적 중심점을 산출하였으며, 2009년에는 광진구 등에서 상징물을 설치하여 지형정보 파악 및 관광요소로 제공하고 있다.
<규모가 큰 측량기준점 정비하여 남산 정상의 새로운 명소로>
서울시는 남산 정상부에 위치하여 자연경관을 저해하고 있는 규모가 큰 측량기준점(2등 삼각점) 정비와 연계하여 서울의 중심점을 조성하면 남산의 경관개선 및 서울의 명소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 측량의 중요한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온 남산 정상의 삼각점이 규모가 커 주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이번에 서울의 중심점과 통합하여 디자인하였다.
서울시는 중심점 조형물에 최첨단 GPS 수신기능을 도입하여 앞으로 실제 측량 기준점으로도 활용하는 등 남산 정상에 서울을 상징하는 새로운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중심점은 서울과 한강의 모습을 투영한 디자인으로 물과 함께하는 역동적인 문화 서울의 이미지를 보여주며, 서울시 25개의 자치구를 표시하여 서울에 대한 깊이 있는 인식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금년 5월중으로 중심점 설치>
서울시 김영걸 균형발전본부장은 “서울의 중심점을 5월중으로 설치할 예정으로 정상부에 중심점이 설치되면 남산에 새로운 볼거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균형발전본부
남산르네상스담당관 백현식
2171-2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