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훈민정음식 표기에는 뭔가 특별한 비밀이 있다

서울--(뉴스와이어)--2010년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으로 주목 받고 있는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감독 이준익 | 주연 차승원, 황정민, 한지혜, 백성현 | 제공/배급 SK텔레콤 | 제작 ㈜영화사 아침| 공동제작 ㈜타이거픽쳐스)의 훈민정음식 표기 제목에 많은 관객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선시대와 현대의 절묘한 조화!
사극의 이미지를 가장 잘 살리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제목 눈길!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의 제목을 왜 훈민정음식으로 표기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쏟아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뭔가 특별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영화의 공식 카페를 통해 궁금증을 표현할 정도. 영화에 대한 기사를 접한 관객들은 기사에 “기자님, 제목 오타났다”며 댓글을 남기는 등 영화 제목을 소리 나는 형태로 적은 영화의 원제 덕분에 웃지 못할 에피소드들이 생기기도 했다. 이처럼 수 많은 사람들이 다소 낯설게 느끼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의 훈민정음식 표기 제목은 어떻게 탄생되었을까?

영화의 원작자인 박흥용 화백은 “조선시대에 한글이 널리 상용화되기 전에는, 소리를 그대로 풀어 쓰는 형태가 주를 이뤘다. 제목을 소리 나는 그대로 적은 이유는 바로 조선시대의 그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 젊은 이들의 풀어쓰기 취향을 반영해 현대적인 느낌도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였다.”라며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제목 탄생의 근원에 대해 밝혔다.

옛 것, 우리 것에 대한 향수 자극!
이준익 감독 “원제가 주려는 메시지를 2010년을 사는 관객에게 전하고 싶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의 제목은 쉽고 짧은 제목이 주를 잇는 영화계에서 분명 독특한 이름인 것만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만큼 독특하고 기존에 보던 것과 전혀 다른 훈민정음 표기법은 관객들 사이에서 적지 않은 호기심을 던져줌과 동시에 옛 것, 우리의 것에 대한 향수 또한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대해 이준익 감독은 “원작자인 박흥용 화백이 만화 출판 당시였던 1995년 사람들에게 주려던 메시지를, 2010년 지금의 관객들에게도 전달하고 싶었다”며 원제의 메시지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더불어 “인터넷 세대들의 우리말 풀어쓰기 취향을 일찍이 예감한 작가적 통찰력과 발상이 정말 놀랍다.”며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원제만의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극이라는 장르에 현 시대 상황을 그만의 이야기 방식으로 잘 풀어내는 것으로 유명한 거장 이준익 감독과 조선시대와 현대의 조화를 생각해 이야기를 창조시켜왔던 박흥용 화백의 만남은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을 더욱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 제목이면 제목, 스토리면 스토리, 영화에 대한 모든 것이 관심의 대상인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4월 29일 개봉해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연락처

영화사 아침 마케팅 팀
031-931-8050~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