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상하이 엑스포-서울관’ 7천만 관람객 사로잡다
또한 서울명소를 배경으로 한류스타와 관람객과의 합성사진을 찍고, 컴퓨터 로봇이 관람객의 얼굴을 유화처럼 그려주는 컨텐츠는 관람객들에게 신비함과 즐거움을 한껏 선물함으로써 재미를 한 층 더했으며, 서울의 관광정보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한 눈에 알 수 있는 디지털 가이드는 관람객들에게 서울의 요모조모를 알 수 있는 컨텐츠로 인기가 높았다.
특히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공연 상품인 사춤공연이 펼쳐지자 다른 인근 도시관 관람객들까지 서울관으로 모여들어 전시관을 꽉메워 관람열기를 더해 나갔다.
서울관을 방문한 네덜란드의 메리어스 부부는 “서울관이 너무 멋지고 관람객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요소 가 많은 각 파트에 대한 아이디어가 너무 좋습니다. 크로마키로 한류스타와 함께 사진을 찍고 자기모습을 컴퓨터 로봇이 유화처럼 그린 사진을 바로 얻을 수 있어 너무 인상적이다”라면서 즐거워 했다.
2010 상하이 엑스포 서울관에 대한 전시주제는 ‘컬처노믹스&IT'로 관람객들에게 맑고 매력있는 서울을 집중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투어링 서울 등 5개 존으로 구성하고 첨단 IT기법을 동원하였다.
서울시 홍보관 전체 구조(가로 26미터, 세로 19미터)는 큐브를 기울여 경사면을 주고 상단과 전면을 개방한 오픈형태로 시각적인 개방감을 주고 많은 관람객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종 IT 기기에 다양한 컨텐츠를 담은 ‘디지털 다이나믹큐브’로 설계하였다.
서울관은 크게 5개 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시관 파사드인 ‘하이 서울(Hi Seoul)존에서는 서울의 자연과 전통을 상징하는 남산, 한강, 서울성곽, 숭례문을 디지털 아트로 화려하게 형상화하였다.
‘투어링 서울(Touring Seoul)존’에서는 서울의 현재 관광 콘텐츠를 쇼핑앤푸드(Shopping & Food), 트래디션앤트렌디(Tradition & Trendy),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내츄럴앤에코시티(Nature & Eco City), 패션앤스트리트(Fashion & Street), 페스티벌앤나이트라이프(Festival & Night Life)로 나누어 디지털 앨범으로 보여준다.
‘서울광장(Seoul Plaza)존’에서는 터치스크린 키오스크를 통해 서울의 관광정보를 검색해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첨단 IT및 영상시스템을 동원하여 원하는 한류스타와의 합성사진을 직접 출력해 보기도 하고 첨단 디지털 장비로 관람객의 얼굴을 즉석에서 그려주도록 했다.
‘서울하늘(Seoul Sky)존’에서는 대형스크린을 통해 서울의 관광명소의 여행 경험을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직접 촬영 제작한 주제영상인 ‘우리는 서울로 갑니다’와 ‘하늘에서 바라본 다가올 근미래의 서울’이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테마영상, 서울시 전경을 한 눈에 보여주는 파노라마 사진전, 드라마 <아이리스>의 서울배경 명장면을 모은 영상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서울르네상스(Seoul Renaissance)존’은 서울시의 주요 핵심사업인 한강 르네상스, 디자인 수도, 도심 재창조(4대 녹지축, 청계천 등) 그린 서울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서울시가 지원, 육성한 기념품들을 구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했다.
향후 6개월 동안 엑스포 기간중 서울관을 활용한 다양한 서울홍보 및 이벤트로 ‘서울시의 날’ 행사가 개최되는 6월 18일에는 서울시의 각종 행사프로그램과 문화공연이 정점에 이르러, 엑스포 문화광장에는 인사동거리를 재현하고 놀이광장을 설치되어 한국의 다양한 전통 먹거리 및 놀이문화에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고, 서울의 대표적 관광공연 상품인 사춤, 난타, 점프 공연 등이 펼쳐진다.
또한 서울방문 체험단 경품추첨, 아리수 배포, 유학생 온라인 홍보 서포터즈 공모, 관광서울 및 디자인 서울 홍보물 배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서울홍보에 전력을 다할 예정이다.
이번 서울관을 총괄 기획한 서울시 윤영석 마케팅담당관은 “다이나믹하고 재미있는 서울의 모습을 서울관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집중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서울을 꼭 방문하고 싶은 도시로 기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2010 상하이 엑스포 참여를 계기로 아시아를 넘어선 서울 브랜드 마케팅 확대 및 해외 관광객 유치확대에 박차를 가할 것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홍보기획관
마케팅담당관 윤영석
3707-8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