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C, “LTE가 2011년 WiMAX 장비 시장 추월”
전세계 10대 이동통신 사업자 중 9개사를 포함하여 100여개 이상의 통신 업체들이 공개적으로 LTE를 지지하고 있다. IDC의 무선 및 모바일 인프라스트럭처 부문 리서치 매니저인 고드프리 추아(Godfrey Chua) 연구원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처할 수 있는 속도와 용량 증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사업자들은 LTE 표준을 중심으로 융합되고 있다”며, LTE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모바일 네트워크 상에서 한층 더 혁신적이고 보다 안전하게 데이터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비용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기술 솔루션의 핵심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LTE 나름대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아직은 사업자들 간의 지지 정도나 시각이 서로 다르며 각각의 발표 내용을 하나하나 짚어볼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제도적으로도 전세계 다수 시장에서 불투명한 상태다. 그러나, LTE를 통해 데이터 전송 원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 기술은 활성화될 전망이다. 데이터 트래픽이 매출을 크게 앞지르면서 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기술과 운용 솔루션의 필요성이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향후 경쟁력에 극히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LTE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용량 지원 및 부하를 경감시킴으로써 단기적으로는 보완 기술로서의 기능을 할 것이다.
- LTE 장비 경쟁은 기존의 3G 시장 리더인 Ericsson과 급성장중인 Huawei간 “영역다툼(land grab)”의 장이 될 것이며, 한편으로 Nokia Siemens와 Alcatel Lucent는 LTE관련 기업으로 남아 있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 2010년 Motorola, NEC, Fujitsu 등을 포함한 모든 LTE 벤더들이 go-to-market 전략을 강화함에 따라 경쟁이 한층 치열해 질 것이다.
- 모바일 광대역 노트북PC 사용과 더불어 이미 대중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스마트폰 기기들로 인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폭증이 지속적으로 가속화할 전망이다.
웹사이트: http://www.idckorea.com
연락처
한국IDC 마케팅팀
김현주 부장
02-551-4384
이메일 보내기
-
2012년 7월 11일 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