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는 왜 글쓰기교육에 전념할까”
- 신우성기자논술학원 신우성 원장 MIT 글쓰기 집중교육(CI) 취재
전 세계가 인정하는 공과대학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는 얼핏 생각하면 글쓰기교육과 그다지 연관이 없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MIT는 전 세계 그 어느 대학교보다도 엄청나게 많은 예산을 들여 체계 있는 글쓰기교육을 한다. MIT ‘글쓰기와 의사소통센터’의 스티븐 스트랑 소장에 따르면, MIT가 글쓰기교육을 강화한 가장 큰 이유는 졸업생들의 건의에 있었다고 한다.
“1980년 무렵에 졸업생들이 글쓰기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라는 건의를 많이 했었다. 사회에서 생존하는 데 글쓰기가 꼭 필요하다는 게 그 이유였다. 대부분 기술자와 과학자인 그들은 업무가 35% 이상 글쓰기와 관련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MIT는 유능한 사회인을 배출하려면 글쓰기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글쓰기센터를 설립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당시 미국에는 펄듀대(Purdue University) 등 몇 군데에만 글쓰기센터가 있었다. 그래서 MIT는 펄듀대의 믹키 해리스 교수(Mickey Harris)를 비롯한 글쓰기교육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듣고 1982년에 ‘글쓰기와 의사소통센터’를 세웠다. 그리고 차례차례 글쓰기강좌를 필수과목으로 채택했다. MIT 학생은 인문학을 8과목 이상 이수해야 하는데 모든 과목에 보고서 쓰기가 필수이다.
학문 연구와 사회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문장표현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고 글쓰기교육을 중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전할 수 있는 창의성이 있어도 이것을 정확하게 표현하여 널리 알리지 않으면 소용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스티븐 스트랑 소장은 “MIT는 학생들의 글쓰기능력 향상을 위해 1년에 약 2백만 달러를 투입하는 것으로 안다”며 “글쓰기와 의사소통센터'는 26년 동안 학생들의 문장표현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신문기자 출신인 신우성 원장(대치동 신우성기자논술학원 원장, 02-3452-2210, www.shinwoosung.com)이 MIT ‘글쓰기와 의사소통센터’의 스티븐 스트랑 소장과 MIT의 글쓰기교육과정에 관해 나눈 전자우편(이메일) 일문일답 면접취재(인터뷰) 내용을 국내 이공계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소개한다.
참고로, MIT는 1865년 2월 20일 윌리엄 바튼 로저 경이 설립한 공과대학이다. 명문 하버드대학교와 함께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톤의 캠브리지에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선진기술을 개발하는 대학으로 평가받는다. 수많은 기업과 손잡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교육기관이다.
Q:MIT는 의사소통 집중과목(CI:Communication Intensive)이 학부 필수이다. 이것은 전공을 공부하는 데 가장 기본적이고 실제적인 도구인 의사소통능력, 즉 글쓰기와 말하기, 그리고 토론 및 시각적 의사소통(Visual Communication) 등을 학습하는 활동으로 안다. 간단하게 소개해 달라.
A:“학생들은 4년 동안 MIT에 다니면서 1년에 적어도 한 번 ‘의사소통 집중과목’(CI)을 들어야 한다. 1학년과 2학년 과정에는 인문학 과목에 ‘의사소통 집중과목’(CI)이 들어가 있다. 이를 CI-H라 부른다. 3학년과 4학년 과정에는 ‘의사소통 집중과목’을 각자 전공에서 택한다. 이를 CI-M이라 부른다. 이 과목들은 모두 수많은 전임강사와 시간강사가 주도하여 ‘글쓰기 통합과정’(WAC:Writing Across the Curriculum)이란 교과과정에 따라 진행한다. 그들은 강의 외에 학생 글을 손질하고 그들과 면담하여 글쓰기 능력이 향상할 수 있도록 조언한다”
Q: ‘의사소통 집중과목’(CI)에서는 어느 정도 분량으로 글을 쓰는가.
A:“학생들은 한 학기에 보고서를 20쪽 이상 써야 하고, 교정본을 최소 하나 이상 제출한 뒤에 말로 발표까지 해야 한다”
Q:이 과목은 어떻게 개설하나.
A:“교수위원회가 ‘의사소통 집중과목’에 들기 원하는 과목을 모두 검토하여 강좌 개설 여부를 결정한다. 의사소통 집중과목 과정은 모두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2∼3년에 한 번씩 검토받아야 한다”
Q: 이 계획을 필수과목으로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A:“학생들에게 ‘신입생 글쓰기’ 강좌를 필수과목으로 하여 한 학기만 듣게 하는 것은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래서 MIT는 ‘의사소통 집중과목’(CI)을 학부 4년 동안 해마다 최소 1과목 이상 수강하게 한다. 흥미 있는 과목이 많아 대부분 4과목 이상을 듣고 졸업한다”
Q: MIT는 입학 전에 글쓰기 능력을 평가한다고 하던데
A:"신입생들은 학기 시작 전에 온라인으로 신입생 평가시험(FEE:Freshman Evaluation Exam)을 봐야 한다. 이것은 Les Perelman 박사가 고안한 방법이다. 학생들은 미리 받은 글을 몇 개 읽고 시험 당일에 글쓰기문제 두 개를 받는다. 이 시험에서는 어느 주제에 대해 문학 비평을 하거나, 논쟁 하는 글쓰기를 한다.
Q:그 다음에 어떻게 하는가.
A:“학생들은 며칠 뒤에 에세이 두 편을 제출해야 한다. 이 시험은 학문에 관련한 내용 보다 글쓰기능력을 평가하는 게 목적이다. 완성 한 글을 제출하기 전까지 학생들은 며칠 동안 과제물을 읽고, 초안을 만들고, 교정을 한다”
Q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A:"신입생 글쓰기시험 답안은 여러 심사관이 종합하여 채점한다. 채점자 상당수는 의사소통 집중과목 강사들이다. 이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학생들은 1학년 글쓰기 코스(CI HW-의사소통 집중 인문학 글쓰기 과정)를 듣는다. 다른 신입생은 모두 자신들이 흥미를 느끼는 CI H코스를 들을 수 있다. 비록 해마다 합격률이 다르지만, 신입생 중 약 20∼25%가 이 시험을 통과하지 못한다.
Q: MIT의 글쓰기교육 시스템은 학부에서 개별로 운용하지 않고 여러 학과와 센터, 기구들이 연합하여 진행하는 과정이라고 들었다. 또 글쓰기 센터나 글쓰기와 관련 있는 학과, 그리고 글쓰기 연구기관(Program in Writing and Humanistic Studies)의 뒷받침도 탄탄하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MIT의 글쓰기교육 시스템은 미국의 다른 대학들과 비교할 때 어떤 특징이 있는가?
A:"먼저 MIT의 글쓰기교육 체계를 설명하겠다. 우리는 공학, 과학, 인문, 사회과학 등 여러 가지 전문대학원이 있다. 인문대학 안에는 문학 분과(다른 대학에서는 영문학과), 외국어분과와 문학 분과 등이 있다. 분과 중 하나는 ‘글쓰기계획’이다. 이 이름은 1990년대에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PWHS:Writing and Humanistic Studies)으로 바꿨다. 네 가지로 나눠 설명하겠다.
첫째, 1982년에 교무처와 인문대, 사회과학대가 본인 지도로 ‘글쓰기와 의사소통센터’를 개설할 수 있도록 예산을 제공해 주었다.
둘째, 1970년 말과 1980년 초에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PWHS)은 ‘공동 과목’을 제공했다. 이것은 글쓰기 교수가 컴퓨터 공학반과 같은 다양한 전공 수업 강의실을 방문하여 글쓰기강의를 한두 번 한 뒤에 학생들의 보고서를 받아 점수를 매긴다. 이렇게 공동개최하는 계획은 ‘글쓰기 통합과정’(WAC)으로 발전했다. 이 계획은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에서 운영한다.
셋째, ‘글쓰기 통합과정’ 담당자들은 MIT의 각 분과에서 열리는 과목 담당 교수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협조한다. 서로 협력해 가면서 글쓰기 계획을 시작했고, 그 속에서 학생들의 글쓰기능력은 자연스럽게 성장했다.
넷째, 교수들이 잘 협조해 주어 ‘글쓰기 통합과정’이 성장할 수 있었다. 이것이 MIT 글쓰기교육의 장점 중 하나다. 글쓰기 통합과정 강사들은 다른 분과 교수들과 매우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글쓰기를 지도한다. 아울러 현장과 관련 있는 글쓰기교육을 위해 일한다"
Q: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PWHS)은 무엇인가.
A:“‘글쓰기와 인문학 과정’은 글쓰기를 활용하여 인문학지식을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학문의 기초를 쌓는 계획이다. MIT에서 무척 특별한 과정이다. 학생들은 소설, 시, 설명문 쓰기, 그리고 전문 글쓰기를 전공으로 택할 수 있다. 석사과정에 대중을 위한 과학 글쓰기도 있다”
Q: MIT가 학생들의 글쓰기능력 향상을 위해 2004년 1년 동안 약 2백만 달러를 사용했다고 들었다. 글쓰기교육은 1년 예산이 어느 정도인가.
A:“예산을 많이 투자하는 것은 사실이다. 글쓰기 계획을 실시하려면 예산이 많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확한 액수는 모른다. 1년 예산이 약 2백만 달러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예산은 주로 ‘글쓰기 통합과정’의 글쓰기강사 교육을 위해 사용한다. 글쓰기센터의 예산은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 예산의 일부분으로 ‘글쓰기 통합과정’ 예산과 구분하여 집행한다. ‘글쓰기와 인문학 과정’은 글쓰기 계획과 글쓰기 센터, 글쓰기 통합과정을 제공하는 학부의 모체이다”
Q: 글쓰기 교수진도 소개해 달라.
A:“글쓰기를 지도하는 교수진에 Anita Desai(은퇴), Alan Lightman, Ana Castillo, Helen Elaine Lee, Junot Diaz 등 전 세계에서 유명한 소설가가 있다. 또 현재 생존하는 과학 소설가 Joe Haldeman, 수상 경력이 많은 자서전 작가 Ken Manning, 사상사 전문가인 James Paradis와 Rebecca Faery, 시인 David Barber(Atlantic Monthly의 시 잡지 편집장)도 글쓰기교육 연구진이다. 1995년까지만 해도 분과가 하나였던 수사학 과정을 2006년에는 5개 분과로 나눌 정도로 교과과정이 풍부하다”
신우성 원장이 이끄는 <신우성기자논술>은 대치동 학원가에서 수많은 합격자를 낸 정통 논술학원이다. 석탄일 연휴인 5월 21일(금)부터 23일(일)까지 3일 간 인문계·자연계 ‘고3 수시 논술캠프’를 연다. 또 6월 2일 지방선거일에도 논술캠프를 마련한다. 문의: 대치동 신우성기자논술학원(02-3452-2210, www.shinwoosung.com)
신우성학원 개요
신우성학원은 대치동에 소재한, 전과목을 지도하는 종합 보습학원이다. 논술학원으로 출발한 신우성학원은 논술 면접은 물론 입학사정관, 수능(국어 영어 수학)과 한국사인증시험, 한자급수시험, 중국어급수시험 등을 전문적으로 지도한다. 2014년에 창립 11주년을 맞은 신우성학원은 중국어 급수시험(HSK iBT)을 주관하는 탕차이니즈에듀케이션의 협력사로서 홍보 및 시험 운영 업무도 병행한다.
웹사이트: http://www.shinwoosung.com
연락처
신우성학원
이상혁 원장
02-3452-2210
018-259-3065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