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주립 대학교 알바니 분교 소속 보건 및 환경 연구소, 10년간 진행된 INTERPHONE 휴대폰 사용 연구 결과 뇌종양 증가 위험 확인
전문가들, 휴대폰의 설계 변경·경고·어린이들의 사용 금지를 촉구
BioInitiative Report 공동 편집인이자 뉴욕 주 렌셀레어 소재 뉴욕 주립 대학교 알바니 분교의 보건 및 환경 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and the Environment) 소장인 데이빗 카펜터 의학박사(David Carpenter MD MP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연구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 연구를 통해 정리된 위험성은 반드시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고 특히 어린이들의 휴대폰 사용을 억제하고 생산업체들에게 휴대폰과 PDA를 재설계하도록 촉구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로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 연구는 또한 정부에게 새로운 무선 기술 전개가 대중들에게 널리 확산되고, 비자발적이며 장기적인 건강 관리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에 게재되어 있다. 전세계의 13개 팀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취합했다.
미카엘 쿤디(Michael Kundi) 소장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 "저자들은 전반적으로 위험이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예상하지 못했던 바가 아니다. 뇌종양이나 폐암과 같은 고형 종양을 발생시키는, 예를 들어 담배나 석면과 같은 종양유발물질에 노출 되더라도 그렇게 짧은 기간 동안에는 사람들에게 암 발생 위험을 크게 늘리지 않는다. 뇌종양의 잠복 기간은 15-30년이다. INTERPHONE 연구 조사 결과는 스웨덴의 Orebro University Hospital, University of Utah 및 UC Berkeley가 뇌종양 연구 결과를 통합할 때 신경 교종 위험 증가에 대해 보고된 모든 사례를 메타 분석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재확인해 주고 있다."
레나르트 하르델(Lennart Hardell) 스웨덴 Orebro University 소속 연구원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최종 INTERPHONE 연구 결과는 우리 대학교를 포함하여 여러 연구 그룹들의 발견 내용, 즉, 휴대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뇌 종양 발생 위험이 커진다는 것을 재확인해 주고 있다. 장기(10년 및 그 이상)적으로 볼 때 정기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더 뇌종양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큰 암 발생 인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없다. 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더 어리거나 더 늙은 환자들을 제외한 30-59 세의 연령대이다. 분석에서 무선 전화기 사용은 무시되었다. 일부 무선 전화기의 무선 주파수 방사량은 일부 국가의 경우 휴대폰과 맞먹을 만큼 높기 때문에 무선 전화기 사용을 배제한 것은 위험을 과소평가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전세계에서 휴대폰 사용자가 40억 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뇌종양 창궐 가능성 때문에 전문가들은 휴대폰 설계의 변경, 경고 및 어린이의 휴대폰 사용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어린이들은 화학물질 및 휴대폰의 무선주파수 방사 노출 등 생활에서 가장 독성이 높은 요소들로 인한 영향에 성인보다 취약하다. 전문가들은 어린이의 성장하고 있는 두뇌 및 신경계에 대한 무선주파수 방사의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2007년 발표된 휴대폰 및 기타 전자기장(EMF) 노출로 인한 위험 가능성에 대한 The BioInitiative Report에서 공공 보건에 대한 경고가 제기된 바 있다. 동 보고서는 건강 연구에 앞서 무선 기술로부터 EMF 및 무선 주파수 방사의 근원을 계속 만들어내는 것에 대해 반대 의견을 밝혔고 새로운 기술로 인해 대두되는 위험을 다루기 위해 생물학을 근거로 한 새로운 공공 안전 한도를 설정할 것을 주장했다. INTERPHONE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경고의 중요성을 강력하게 확인시켜 주고 있다.
보고서: 휴대폰 사용과 관련된 뇌종양 위험: NTERPHONE 국제 사례 통제 연구의 결과, The INTERPHONE Study Group, 2010년 5월,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www.ije.oxfordjournals.org, 1-20.doi:10.1093/ije/dyq079
The BioInitiative Report: 생물학적 근거를 가진, 전자기장(ELF 및 RF). 공공 노출 표준 설정의 타당성 www.bioinitiative.org
웹사이트: http://www.bioinitiative.org
이 보도자료는 BioInitiative Working Group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
2014년 4월 14일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