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림천,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
도림천은 지난 80년대 지하철 2호선이 하천 상부를 통과하고, 90년대 이후 신도림역~신림역까지 도림천 주변이 복개돼 하천이 그늘지고 음산했다. 이에 시민들의 발길도 뜸해 적막감마저 흐르고 있었다.
이러한 하천을 시민들에게 돌려주기 위해 서울시는 총 335억원을 투입, 지난 2008년부터 본격적인 생태하천 복원 사업을 시작했고 5월 말 도림천은 맑은 물이 흐르는 생태하천으로 재탄생한다.
생태하천으로 새롭게 재단장한 도림천은 총11km로 도림천 전 구간에 자전거도로와 산책로가 생겨 시민들에게 휴식과 문화 공간을 제공한다. ‣구로·영등포 구간은 신도림역 주변 민간공사와 연계해 특화 공원을 만들고, 문화·공연 등을 위한 야외무대도 설치해 시민들이 가족단위로 나와 도심 속에서 편히 쉴 수 있는 소중한 휴식공간을 만든다.
관악구간에는 벤치 및 분수를 만들어 주민들이 산책하다 쉴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 동작 구간은 소규모 계류시설을 설치해 물과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기존의 도림천은 주변에 지하철시설과 복개구조물 등이 있어 시민들의 접근이 불편했다. 이에 교량 변으로 진입로 18개소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기존 진입로를 대폭 개선했다.
시민 편의를 위해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를 분리했고, 반 복개구간에는 조명을 설치해 하천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비했다.
또 여울과 소, 징검다리를 만들고 초화류를 식재해 식물과 곤충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으로 조성한다.
이와 함께 벽천분수와 물놀이장을 만들어 도림천을 문화와 낭만이 흐르는 문화 공간으로 조성, 온 가족이 멀리가지 않고도 수변문화를 만끽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든다.
도림천에 맑은 물이 흐르게 되면 영등포·관악·구로·동작구 등에 사는 200만 시민들이 내 집 앞에 휴식공간을 갖게 돼 시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도시 속 열섬화 현상도 완화돼 촉촉하고 시원한 도시로 변화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림천은 관악산 계곡에서 도림천·안양천·한강으로 이어지는 물길로 도림천이 복원되면 도림천과 관악산을 잇는 녹지축이 연결돼 도심 속 새로운 수변공간이 탄생된다. 또 2012년 완성되는 안양천 뱃길과 연결되면 이 지역은 도심 속 수변문화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다.
도림천에 공급되는 물은 한강물과 관악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수, 지하철에서 발생되는 유출 지하수를 활용 할 예정이다.
한강으로부터 30,000톤의 물을 가져와 구로 디지털단지역 주변에 16,000톤, 관악구 동방1교 주변에 14,000톤의 물을 흘려 보낸다.
서울시 물관리국은 “건천인 도림천에 물이 흐르게 되면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하천, 사람과 동·식물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하천으로 탈바꿈 하게 될 것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물관리국
하천관리과장 고태규
2115-7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