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되는 저금리 기조…매도자, 버틸 때까지 버틴다”

서울--(뉴스와이어)--올 초부터 약세를 보인 수도권 아파트가격이 좀처럼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대출부담으로 집을 매도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다 일부 시장에서는 구매의사가 있는 수요자들이 급매물보다 저렴한 2~3회 유찰된 경매물건으로 눈길을 돌리면서 기존 아파트 시장의 침체양상이 더욱 짙어지는 모습이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6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p 낙폭을 확대하며 0.10%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이 -0.13%로 지난주와 동일했고, 버블세븐지역은 평촌(-0.40%), 용인(-0.39%), 분당(-0.21%) 등 경기지역의 약세로 -0.21% 밀려났다. 신도시(-0.28%)는 지난해 2월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하락폭이 컸고,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0.19%, -0.09%의 변동률로 약세장을 이었다.

서울 권역별로는 강남권이 -0.16%, 비강남권이 -0.12%로 모두 하락장이 꾸준했다. 유형별로는 일반 아파트와 주상복합 단지는 0.12%씩 떨어지며 지난주보다 낙폭이 확대됐지만 재건축 아파트가격은 이번주 -0.18%로 전주(-0.35%)보다 낙폭을 줄였다.

재건축 구별로는 여의도동 재건축 단지들의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영등포구가 1.60%로 크게 하락했고, 광진구(-0.58%), 송파구(-0.21%), 강남구(-0.19%), 서초구(-0.07%) 등의 순으로 하락세를 이었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 79㎡(24평형)가 8억 8,500만 원에서 8억 3,500만 원으로, 광진구 자양동 자양 59㎡(18평형)가 4억 500만 원에서 4억 원으로,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 112㎡(34평형)가 10억 4,500만 원에서 1억 3,500만 원으로 하락했다.

서울 일반 아파트 시장은 이번주도 거래부진이 여전했다. 향이 좋거나 로열층을 찾는 수요자들은 꾸준히 전화문의를 통해 시세를 파악하지만 매수자들이 원하는 가격과 매도 호가 차이가 커 거래성사가 어려운 상황이다.

강동구가 -0.35%로 가장 많이 떨어진 가운데, 관악구(-0.25%), 강남구(-0.25%), 노원구(-0.23%), 성동구(-0.18%), 송파구(-0.15%) 등의 순으로 매매가가 떨어졌다. 길음뉴타운과 미아뉴타운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정릉동, 종암동 기존 단지들의 거래부진이 심각해졌고, 신규 아파트들 역시 마이너스프리미엄이 붙어 매물이 나오면서 성북구는 -0.14% 매매가가 내린 한 주였다.

강동구 강일동 강일리버파크3단지 108㎡(5억 3,500만→5억 500만 원), 관악구 봉천동 관악푸르지오 112㎡(5억→4억 8,500만 원), 강남구 개포동 주공6단지(고층) 102㎡(9억 1,000만→8억 8,000만 원), 노원구 상계동 은빛2단지 82㎡(2억 7,500만→2억 4,000만 원), 성북구 정릉동 태영 112㎡(3억 6,500만→3억 3,500만 원) 등의 단지가 매매가 하락세를 이끌었다.

신도시는 이번주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대형면적의 경우 지난해부터 이미 거래가 멈춰버렸고, 역세권 소형 아파트 급매위주로 조금씩 거래되던 일대 단지들 역시 최근 들어 거래량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평촌(-0.40%), 산본(-0.38%), 일산(-0.38%)의 하락세가 두드러졌고, 분당은 -0.23%, 중동은 -0.08%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경기도는 과천시가 -0.98%로 하락세를 주도한 가운데, 양평군(-0.44%), 안양시(-0.40%), 용인시(-0.39%), 동두천시(-0.38%), 광명시(-0.37%), 군포시(-0.34%), 고양시(-0.30%) 등의 순으로 약세를 보였다.

과천시는 일대 주공단지들의 하락세가 거셌는데, 보통 시세보다 3,000만~4,000만 원 이상 가격을 내리지 않으면 매수자와 계약을 이룰 수 없다고 중개업자들은 말했다. 별양동 주공5단지 148㎡(11억→10억 5,000만 원), 원문동 주공2단지 59㎡(7억 7,500만→7억 6,500만 원)를 비롯해 래미안슈르 85㎡(7억 7,500만→7억 6,500만 원) 등이 매매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밖에 양평군 현대성우3단지 108㎡(2억 5,490만→2억 4,750만 원), 안양시 평촌동 초원한양 105㎡(4억 5,000만→4억 1,500만 원), 용인시 신갈동 녹원마을새천년그린빌4단지 125㎡(5억 4,000만→4억 6,000만 원) 등의 순으로 약세가 집계됐다.

인천은 강화군, 계양구, 부평구가 거래 없이 보합세를 기록했고, 중구(0.06%), 동구(0.03%)가 소폭 상승세, 서구(-0.31%), 남동구(-0.15%), 연수구(-0.09%), 남구(-0.04%) 등의 순으로 내리막길을 걸었다.

도움말: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책임연구원(kko@neonet.co.kr)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김근옥 책임연구원
02-2185-7207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