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웨이브터치 기술로 세계시장 나서는 ‘RPO’

뉴스 제공
RPO
2010-06-22 13:37
San Jose--(뉴스와이어)--새로운 첨단 기술을 사용한 제품들이 날로 그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터치스크린과 같은 편리하고도 유용한 제품에서는 그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함에 놀라움을 금할 길이 없다. 터치스크린 분야에서 특유의 디지털웨이브터치(Digital Waveguide Touch, 이하 DWT) 기술을 선보이고 있는 RPO(www.rpo.biz)는 옵티컬 터치스크린 분야에서 이러한 강점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 세계 시장에서 그 존재를 새롭게 부각시키고 있다.

지난 2001년 설립된 옵티컬 터치기술 중견업체 RPO는 호주 국립대학에서 섬유광학 커뮤니케이션 네트웍을 위한 웨이브가드 제품 생산 연구를 5년 간 주도한 것을 시작으로 터치스크린 기술을 적용한 소비가전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호세를 근거로 활동하고 있는 이 업체는 호주 Canberra에 웨이브가드 제조시설 및 R&D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시드니에 테스트 시설, 클린룸, 조립라인, 신뢰성 연구소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서 하이 볼륨 제조 협력업체들과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의 저비용, 고성능 터치스크린 기술

RPO의 터치스크린 기술은 자사의 DWT에 집약되어 있다. 폴리머 옵티컬 웨이브가드는 DWT의 주요부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 다른 부품들은 표준규격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폴리머 옵티컬 웨이브가드는 디스플레이의 홈을 가로지르는 빛을 전송하기 위해 터치 가능한 기기의 맨 위 커버 아래에서 적용된다. 보이지 않는 높은 결과값의 적외선 빔은 디스플레이 표면 바로 위에서 자유로운 공간 및 홈을 통하여 생성되며, 이 빔이 차단될 때 터치 활동이 모니터 되는 방식이다.

RPO의 Jason W. Schouw 세일즈&마케팅 부사장은 “옵티컬 웨이브가드는 우리 고유의 폴리머 기술로 만들어졌으며, 그 기술은 RPO가 소유하고 있다. RPO는 LCD 분야의 포토레지스트 툴을 이용하여 저비용의 웨이브가드 제조 기술을 개발하였다”며, “이것은 RPO가 대형의 유연한 결합조직의 기본물질 위에 Telecom-grade의 옵티컬 웨이브가드를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상황은 대형 웨이브가드 세트 생산의 비용효율성에 큰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DWT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동시 멀티터치 입력과 펜, 손가락, 장갑을 낀 상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물체로도 터치가 가능한 점, 눈부심 방지 코팅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디스플레이에서 중요한 밝기 및 명암비의 감소가 없으며, 핸드라이팅 수용력과 최첨단의 결과값 제공, 제로 압력의 터치로 스크롤링 가능 및 화면 내구성의 향상, 어떠한 플랫 판넬 디스플레이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탁월한 성능으로 시장 선점 전망

디스플레이 리서치의 시장분석에 따르면, 현재 터치스크린 시장은 3.6빌리언 달러를 넘어서고 있으며, 다가오는2015년에는 9빌리언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RPO 측은 “메인 제품은 휴대폰, PDA, 게임 플레이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GPS 시스템, 자동차 제어 디스플레이, 이북 리더기, 노트북, 테블릿 및 올인원 컴퓨터를 비롯하여 ATM, 갬블링 머신, 키오스크와 같은 전문적인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라며, “높은 성장분야로써 뛰어난 기기 통합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가 터치스크린과 같은 새로운 인풋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다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고 있다.

RPO의 Dax Kukulj 사업 개발 및 제품 전략 부사장은 “터치스크린 시장 관련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지만, 모바일 기기분야에는 기존의 터치스크린 기술들과 관련하여 몇몇 중요한 문제점들이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어 LCD와 같은 전도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resistive 터치 판넬 제품에는 광학 밝기에 있어서 20%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의 선명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뿐만 아니라 과도한 빛 반사율로 인한 눈부심 현상 때문에 야외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화면의 스크래치를 야기하는 높은 압력의 터치를 요구하며, 손가락을 이용한 스크롤링에도 제한을 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capacitive 터치기술은 높은 비용을 감수해야 하며, 대형스크린의 경우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펜이나 장갑을 낀 손가락으로는 쉽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며, “resistive와 capacitive 터치기술은 반사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때 밝기와 명암비 면에서 50% 감소율을 나타내는 단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비해 RPO의 DWT 기술은 양손가락을 사용한 터치스크린 활용이 가능하며, 높은 핸드라이팅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RPO 측은 “이 차세대 터치스크린 기술은 특허 받은 폴리머 옵티컬 웨이브가드에 기반한 완전히 새롭고 특별한 기술 플랫폼으로 어떠한 오브젝트로도 이용이 가능한 유일한 제품”이라고 설명하며, “이 기술은 별도의 터치 오버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의 밝기나 명암의 저하를 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하이 볼륨 제조에 적합한 저비용의 기술플랫폼 임을 자부한다”고 밝혔다.

크기에 제한 없는 기술력, 내년 고성장 예상

특히 RPO 기술의 장점은 작은 디스플레이나 대형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될 때 반응 속도에 차이가 없으며, 수많은 패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핸드폰, PDA, 게임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카메라, GPS 시스템, 자동차 제어 디스플레이, 이북 리더기, 노트북, 타블렛 및 올인원 컴퓨터 및 ATM, 갬블링 머신/키오스크와 같은 수많은 전문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유연한 기술로 설명되고 있다.

RPO 측은 “우리의 옵티컬 터치스크린 기술은 터치성능, 핸드라이팅 및 최첨단 결과를 전송하는 옵티컬 빔의 전례 없는 제어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resistive, capacitive 및 다른 인기 있는 터치스크린 기술들의 모든 부정적인 속성들을 다루고 있다”며, “이러한 기술적 장점으로 여세를 몰아 내년에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도 이북 리더기, 컴퓨터 분야에 우리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자동차 제어 스크린 분야 및 큰 사이즈의 컴퓨터 시장 등을 포함한 몇몇 잠재적인 시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RPO는 한국 시장에 이미 진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업체들과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현재 모바일 기기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터치 패널에 집중하고 있는 이 업체는 자사의 기술이 어떠한 사이즈의 터치스크린에도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프로젝트가 진행되느냐에 따라, 또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RPO 개요
Since mid-2003 RPO’s focus has been turned to applying its waveguide technology to solutions for consumer electronics markets and developing a high-volume manufacturing process. We are a technology focused company, with over 90% of our staff engaged in waveguide technology development, technical marketing,product development, design, and manufacturing.
연락처

홍보대행사 세미컴
고영순 대리
02-3473-6369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RPO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