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무더위 속 세입자 발길도 ‘주춤’, 서울 우수학군 주변만 거래돼

서울--(뉴스와이어)--본격적인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수도권 전세시장이 한산한 모습이다. 경기도 일대는 최근 전세가가 꾸준히 안정세를 보였음에도 찾는 사람이 없어 거래성사가 어려운 상황이며, 신도시의 경우 5개 지역, 소형부터 대형까지 모든 전세거래가 올 스톱 상태다. 서울은 이번 주 강남구와 송파구, 양천구 등에서 우수학군을 따라 이사하려는 수요자들로 인해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그 중에서도 저렴한 재건축 단지들이 인기를 끌었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7월 셋째 주 전국의 전세가 변동률은 0.08%를 기록했다. 서울(0.10%)의 상승세가 여전한 가운데 인천(0.09)도 오름폭을 소폭 키웠다. 신도시(-0.12)가 3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으며 경기 또한 상승세가 꺾이며 변동이 없었다.

서울은 지난 주 상승세가 거셌던 서남부 지역에 이어 강남권까지 오름폭을 키웠다. 모든 지역에서 거래가 활발한 것은 아니지만 학군수요가 몰린 강남구와 송파구, 양천구 등에서는 그 동안 세입자를 구하지 못했던 전셋집들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특히 개포동이나 가락동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의 경우 전세값이 저렴하다는 점 때문에 세입자들이 발길이 꾸준히 이어졌다.

수도권에서는 과천시 아파트 전세가격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입주 2년을 맞은 래미안슈르의 전세물량이 여전히 적체되어 있는 상태인데다 저렴한 주공단지들 마저 세입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파주시 역시 교하신도시 조성으로 인해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세시세가 하향조정된 모습이다.

산본과 일산은 전세물량이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찾는 세입자들 역시 자취를 감추면서 거래가 끊겼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집주인들은 전세가 인상없이 기존 세입자들과 재계약을 맺으려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인천은 서구의 새 아파트와 남동구의 도심권 단지들이 인기를 끌면서 거래가 속속 이뤄진 한 주였다.

수도권 지역별 변동률

[서울 ▲0.10%] 강남구, 송파구, 양천구 등 학군우수지역 상승세 두드러져

강남구가 0.35%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여기에 송파구(0.35%), 양천구(0.14%) 등 우수학군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구로구(0.16%)도 지난 주의 상승세를 지속했다. 노원구(-0.07%), 성북구(-0.08) 등은 2달째 내리막길을 걸었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6단지 75㎡(2억 3,000만→2억 4,500만 원),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2차 43㎡(5,500만→6,500만 원),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4단지 89㎡(2억 1,000만→2억 1,500만 원), 구로구 고척동 삼익2차 109㎡(1억 5,000만→1억 6,750만 원) 등의 시세가 상향 조정됐다.

[신도시 ▼0.12%, 인천 ▲0.09%, 경기 변동없음] 1기신도시 전 지역에서 하락 / 인천은 서구, 남동구에서 상승세 / 경기도는 보합세 보여

신도시는 지난 주부터 하락세가 지속된 산본(-0.59%)과 일산(-0.18%)에 이어 중동(-0.10%), 평촌(-0.01%), 분당(-0.01%)까지 하락장에 합류했다. 군포시 산본동 장미삼성 125㎡(1억 9,000만→1억 7,250만 원), 고양시 주엽동 문촌동아 106㎡(1억 7,750만→1억 6,000만 원), 부천시 상동 반달선경 76㎡(1억 2,500만→1억 1,750만 원), 안양시 평촌동 꿈건영5단지 125㎡(2억 5,500만→2억 4,750만 원)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경기지역 역시 과천시가 -1.12%의 변동률을 기록하면 하락세를 이끈 가운데 파주시(-0.18%), 군포시(-0.13%), 포천시(-0.07%) 등 많은 지역이 약세장을 연출했다. 반면 인천에서는 서구와(0.49%)와 남동구(0.48%)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연수구(-0.02%)와 부평구(-0.08) 2개 구만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과천시 원문동 래미안슈르 86㎡(2억 8,500만→2억 6,500만 원), 파주시 교하읍 자유로아이파크 135㎡(1억 2,000만→1억 1,000만 원), 군포시 부곡동 휴먼시아3단지 109㎡(1억 4,500만→1억 3,750만 원) 등의 전세가가 하락했고, 인천의 경우 서구 신현동 신현이편한세상하늘채 109㎡(1억 1,000만→1억 2,500만 원)와 남동구 구월동 롯데캐슬골드2단지 102㎡(1억4,500만→1억 5,500만 원) 등이 상승한 가격으로 임차계약을 맺었다. [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이서호 연구원]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