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세계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에서 4회 연속 1위 선정
- 서비스, 시민참여, 보안, 사용편리성, 콘텐츠 5개 분야 평가 중 4개 부분 1위
- 공공정책에 대해 시민이 제안․참여하고 공무원들과 소통한 부분 높이 평가
세계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는 UN 경제사회국과 미국 행정학회가 후원하고 미국 럿거스대학교 e-거버넌스 연구소와 성균관대 국제정보정책전자정부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것으로, ‘03년부터 격년제로 평가, 발표하고 있다.
서비스, 시민참여, 보안·개인정보, 사용편리성, 콘텐츠 등 5개 분야, 98개 항목을 평가하며 100점이 만점이다.
이 중 서울시는 서비스, 시민참여, 보안·개인정보, 콘텐츠 4개 분야에서 1위를 기록, 총84.74점의 점수를 받았다.
사용편리성 분야 1위는 프라하로 총 72.84의 점수를 받아 2위를 차지했다.
타 도시들이 10위권내 유지가 일정치 않은데 비해 서울시는 전자정부 100대 도시를 평가하기 시작한 2003년부터 1위 자리를 지키고 있고, 특히 2위 도시인 프라하와 11.90점의 점수격차 차이를 보이고 있어 전자정부의 리더로서 부동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공공정책에 대해 시민이 제안·참여하고 공무원들과 소통한 부분 높이 평가>
특히 이번에 서울시가 높이 평가된 부분은 시민참여 분야로서 웹사이트를 통해 공공정책에 대해 시민이 의견을 제안·참여하고 이에 대해 서울시 공무원들이 직접 응대하고 제안 기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소통한 부분을 높이 평가하였다.
시민참여분야는 민선4기부터 역점을 두어 추진해 온 분야로서 사이버정책토론방, 천만상상오아시스 등에 이어 민선5기에서도 오프라인의 ‘시장과의 현장대화’를 온라인상에서도 운영하여 청년실업해소방안, 학교안전과 방과후 학교, 사회복지사와의 따뜻한 서울만들기 등 다양한 계층의 시민과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서울시의 평가 분야별 전자정부 서비스 내용을 보면,
○ 서비스 분야
서울시 메인홈페이지를 시민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자별(일반시민, 사업자, 관광객 등), 정보주제별로 재구성하였으며, 홈페이지 민원상담/신고를 통합 개선하고 원클릭 전자민원시스템을 개편하여 시민의 편의를 위해 노력
○ 시민참여 분야
시민고객이 온라인 참여공간을 통해 우리시의 주요시책과 현안사항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제안하고 토론하며 제안 및 토론결과를 서울시 정책으로 실현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는 온라인 시정참여 공간인 “천만상상 오아시스”와 정책토론과 실현을 위한 “사이버 정책토론방” 등을 운영
정책토론방, 청소년토론방, 핫이슈토론방을 2009년 한해동안 24회 운영하였고 의견 2,131건, 조회 62,831건수를 기록하였음.
유무선 온라인 정책투표시스템(e-poll)을 운영함으로써 투명한 서울시 구현에 앞장서고 있으며, e-시민참여 서비스로 2008년 UN공공행정상 우수상을 수상.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해 시민이용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90.4%의 만족도를 보였음.
○ 보안/개인정보보호 분야
사이버침해사고 예방·대응에 2009년도 정보보호분야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하였음 서울시 정보보호시스템 운영(침입차단시스템 등 12종)과 통합정보보호체계 구축 컨설팅 및 국제표준 정보보호 관리체계(ISO27001)에 기반하여 관리함.
개인정보 노출 점검툴을 사용하여 365일 철저한 자체 상시점검 예방활동으로 중앙정부기관의 공공기관 개인정보 노출점검에서 서울시는 적출사례 없었음.
○ 콘텐츠 분야
노인・장애인 등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웹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시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마일리지 운영을 대폭 개선.
모바일GIS플랫폼 구축으로 공간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모바일 행정서비스 기반을 마련.
시민고객의 생활패턴에 맞는 모바일포털 “ⓜ서울702”서비스를 발굴하여 제공하는 등 시민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하였음. 또한 전국지방자치단체 최초로 휴대폰을 통한 외국어(영문)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일어, 중국어로 확대해 나갈 예정임
○ 사용편리성 분야
새로운 기술(Widget, Open API, RSS 등)을 활용하여 Web2.0 기반의 개방형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민간포털, 개인블로그 등에서 공공정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음.
홈페이지 콘텐츠 실명제, 콘텐츠별 만족도 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였음.
본 연구를 수행한 국제정보정책 전자정부 연구소 관계자는 “전자정부 연구에 대한 동·서양의 관점에서 진행한 지속적 협업의 결과라는 점에서 전자정부 성과 지수를 기반으로 한이번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며 전세계 지자체의 미래 전자정부 전략 수립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내다봤고,
미국 럿거스대학교 e-거버넌스 연구소장이자 공공 행정대학장인 마크 홀저 교수는 “본 서베이에 사용된 전자정부 성과 지수는 일련의 평가 기준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수준의 성과를 부각시키고 가까운 미래에 모든 국가에서 향상된 웹기반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서울시는 UN 공공행정상(사이버정책토론방(2008), 천만상상오아시스(2009)수상, WITSA 2010 Global ICT Excellence Awards에서 최우수상(ⓜ702,모바일포털,2010) 등 전자정부와 관련 해외 공신력 있는 기관으로부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 각국 도시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으며, 모스크바시(‘04.11), 하노이시(’05.7), 울란바타르시(‘05.9), 나이로비시(’07.10), 바르셀로나시(‘09.6) 등 10개 해외도시와 우리시의 전자정부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한 바 있다.
이번 ‘세계 100대 도시 전자정부평가’에서 IT글로벌 선진도시의 입지를 굳힌 서울시는 오는 9월(6일~8일) ‘세계도시 전자정부 협의체 창립총회(Inaugural General Assembly of World e-Governments Organization 2010) 개최를 통해 ▲ 도시간 ICT 국제 네트워킹 구축을 통한 공동번영 ▲IT를 활용한 녹색성장 달성 ▲우수사례 공유, 확산을 통한 행정투명성, 효율성 제고 및 시민참여 활성화 ▲개도국 정보화사업 지원을 통한 정보격차 해소사업을 주도해 나감으로써 전자정부 분야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할 예정이다.
-전자정부 세계 100대 도시 평가 개요
○ 평가대상
- 세계 100대 도시 중 온라인 이용자수 16만 이상 도시 중 공식 웹사이트가 확인된 도시 (※UN 미행정학회 후원으로 ‘03년부터 격년제로 평가시행)
○ 평가분야 : 5개 분야, 98개 항목, 100점 만점
- 서비스(20점): 온라인 민원처리 수준, 공공시설 예약, 전자조달, 게시판, 개인맞춤서비스 등
- 시민참여(20점): 사이버정책토론, 전자회의, 온라인여론조사, 시민정책수렴, 시민만족도 등
- 보안/개인정보(20점): 개인정보보호정책, 보안정책, 암호화, 전자서명, 보안서버 등
- 사용편리성(20점) : 디자인, 네비게이션, 링크, 검색수준, 정보의 정확성, 현행화 등
- 콘텐츠(20점): 기관정보, 시정 및 공공정보, GIS, 장애인접근성, 외국어지원, 모바일서비스 등
○ 평가방법 : 웹사이트에 대한 전문가 다중 평가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정보화기획단
정보화기획담당관 강병호
6361-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