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명문(銘文)이 있는 백자’ 3건 문화재 지정
- 청화백자의 개시시점을 알려주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청화백자묘지 ‘백자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白磁靑華興寧府大夫人墓誌)’
- 영조(英祖)의 애달픈 사부곡(思婦曲) ‘백자청화 영빈이씨 묘지(白磁靑華暎嬪李氏墓誌)’
- 서울 동묘에서 치성 드릴 때 사용했던 ‘백자동묘치성병명 병(白磁東廟致誠甁銘甁)’
※ 묘지(墓誌) : 죽은 사람의 이름과 경력, 생몰연월일, 성품, 가족사항 등을 새겨 무덤 옆에 파묻는 돌이나 도자기
※ 명기(明器) : 죽은 사람과 함께 묻기 위해 실물보다 작게 상징적으로 만든 그릇, 악기, 생활 용구 등의 기명(器皿)
이 문화재들은 서울시가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가들이 소장하고 있는 서울의 역사와 문화가 담긴 문화재를 적극 찾아내고 보존하기 위해 2009년 하반기부터 실시하고 있는 ‘우리집 장롱 속의 우수한 문화재 찾아내기’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 상반기에 진행된 ‘명문이 있는 백자’ 일괄공모를 통해 발굴된 것이다.(총 공모건수 : 29건, 51점)
서울시는 공모를 통해 발굴된 유물 가운데 문화재위원 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2001.7.16 개최)를 통해 국가 지정문화재(보물) 지정가치가 있다고 인정된 <백자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은 7월중 문화재청에 지정 신청할 예정이며, 현단계에서는 국가 지정문화재로까지 지정하기는 어렵지만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가치가 있다고 인정된 <백자청화 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과 <백자 동묘치성병명 병>은 2010.7.29(목)부터 30일간 문화재 지정계획을 공고하여 문화재 지정에 대한 각계 의견을 수렴한 후 9월 중 문화재로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이번에 보물 지정 신청되는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백자청화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은 현재 우리나라 학계에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청화백자로 15세기부터 우리나라에서 청화백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자료인데 조선왕조실록 등 정사에서는 상세히 다루어지지 않은 흥녕부대부인 인천이씨(1383년~1456년)의 이력이 자세히 기록되어 조선시대 생활사 또는 미시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15C 해서체(楷書體)의 서풍을 잘 알려주며, 묘지를 담았던 석함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사료적·학술적 가치가 특히 높다.
<흥녕부대부인 묘지 및 석함>은 파평윤씨 정정공파(貞靖公派) 교하 종중의 윤덕훈 씨가 2001년 5월에 종중 묘역을 수리할 때 출토된 것으로 묘지는 직사각형으로 총 6매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과 마지막 묘지는 순백자로 글씨가 쓰여지지 않았고, 나머지 4매에 해서체로 정희왕후(1418년~1483년)의 어머니인 흥녕부대부인의 가계와 성품, 이력, 자손들에 관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끝부분에 ‘경태칠년병자동십월 일근지(景泰七年丙子冬十月 日謹誌)’라 쓰여 있어 1456년(세조 2)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묘지마다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대략 가로 26~27cm, 세로는 36~37cm, 두께는 1.5cm 내외로 지금까지 발견된 청화백자 묘지 가운데 가장 크다.
현재 연세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될 <백자청화 영빈이씨 묘지·명기 및 석함>은 영조가 자신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어머니인 영빈이씨(1696년~1764년)가 1764년 세상을 떠나자 그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글로 표현한 유물이다. 연세대학교 경내에 있던 영빈이씨 묘인 수경원(綏慶園)을 1970년 서오릉(西五陵)으로 옮길 당시 출토되었다.
묘지와 함께 20점의 명기, 3개의 석함까지 잘 남아 있으며 제작수준도 높다. 특히 1764년이라는 확실한 제작연대를 가지고 있어 조선후기 왕실유물의 일면을 잘 파악할 수 있다.
영빈이씨의 묘지(墓誌)는 총 2벌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기 장방형으로 9줄 15자씩 구성되었다. 글은 묘지명 제목에 ‘御製暎嬪李氏墓誌’라 쓰여 있어 묘지문을 영조가 직접 지은 것을 알 수 있고, 글씨는 영조와 영빈 사이의 맏딸 화평옹주(和平翁主)와 혼인한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 : 1725년~1790년)이 썼다. 오랫동안 해로한 부인을 잃은 영조의 애틋한 마음과 영빈이씨의 가계와 성품, 자손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명기(明器)는 제기(祭器)를 본뜬 소형의 백자로 태토(胎土)와 유색(釉色)이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정갈하다. 모두 20점으로 보(簠), 작(爵), 향로, 호(壺), 접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시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대상이 되고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백자청화동묘치성병명병>은 무게중심이 아래로 내려가 안정감을 주는 형태의 19세기 작품이다.
몸체 상단부에 돋을새김으로 된 ‘東廟致誠甁 庚辰三月日(동묘치성병 경신삼월일)’이라는 한자 명문이 있어 이 병이 중국의 명장 관우를 모시는 동묘에서 사용했던 병으로 경신년에 제작되었음을 알려준다. 기형과 제작기법을 고려했을 때 경신년은 1820년(순조 20) 또는 1880년(고종 17)으로 추정된다.
서울시의 역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유물로 사료적 가치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백자로서 완성도가 높아 19세기 도자사 연구에도 좋은 자료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국
문화재과장 안건기
2171-2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