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기초식품 두부, 86%정도가 1주일에 1회 이상 섭취
설문조사 문항은 총 13문항으로 두부의 구입횟수, 구입시 선택기준, 포장두부와 비포장두부의 선택기준 및 이유, 개선할 점 등을 물었으며, 설문에 답변한 사람은 총 221명으로 답변자 중 남자는 129명(58.4%), 여자는 92명(41.6%)이었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국민은 1주일에 1회 이상 두부를 섭취하는 경우가 86%정도로 두부가 국민기초식품임을 입증하였으며 나머지 14%도 2주에 한번 꼴로 두부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의 구입 시 선택기준(다수응답 항목)으로는 응답자의 50%가 제조회사 또는 브랜드를 보고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통기한(40.5%), 원산지표시(40.1%), 가격(23.4%), 포장의 유무(22.5%), 유기농재료(12.1%)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대다수의 소비자는 두부선택시 제조회사, 유통기한, 재료의 원산지로 제품을 선택한다고 볼 수 있었다.
식약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두부의 시장점유율은 포장두부가 37.6%이고 비포장두부가 62.4%로 나타났는데, 이번 설문조사에서 소비자의 두부제품 구입 선호도는 포장두부(74%)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가정 소비자는 포장두부를 선호하며, 식당 등의 접객업소에서는 가격 등의 이유로 비포장 판두부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포장두부를 구입하는 이유로는 ‘가격은 비싸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어서(36%)’와, ‘회사브랜드가 믿음직스러워서(21.2%)’, ‘원산지 표시가 분명해서(17.1%)’순으로 답변하였다. 반면, 포장두부를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가격이 비싸서(28.8%)’와 ‘유통기한이 임박한 제품이어서(8.6%)’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비포장 두부를 주로 구입하는 이유로는 신선하고 맛이 좋아서(21.2%), 가격이 저렴해서(17.6%), 집 앞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해서(12.2%) 순으로 나타났고, 비포장두부를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비위생적으로 보여서(37%), 사용한 재료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25.7%), 유통기한이 없어서(9%)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입장에서 비포장두부의 생산 및 유통형태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정부의 과감한 정책추진으로 위생을 향상시켜야 한다(37%), 판매업소에서 냉장보관·판매가 필요하다(32.4%), 판매업소에서 유통기한을 소비자에게 알려야 한다(23%)로 나타나 비포장두부의 위생향상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관련규정의 개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포장두부의 생산 및 유통형태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가격을 낮춰 소비자의 구입을 유도하여야 한다(46%), 가격에 비해 품질이 낮은 제품은 시장에서 퇴출시켜야 한다(24.8%), 지금보다 제품의 위생을 더 향상시켜야 한다(15.3%)로 나타나 소비자들은 포장두부의 가격에 가장 큰 불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에서는 이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국내의 두부 제조실태조사와 위생향상 방안마련에 착수하였고, 연말까지 두부의 생산, 유통체계에서 개선할 수 있는 규정의 정비와 위생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국내업체의 우수모델을 선정하여 견학프로그램 등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로,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국무총리 산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현장·과학·협력’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규격과 한상배 380-1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