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전문대·기능대·실업고 등에 향후 3년간 약 800억을 투자
제2기 산학협력확산산업“은 작년 산자부와 교육부가 공동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제1기 산학협력 확산사업) 모델을 발전시켜 ’05년에는 노동시장 인적자원개발 전담 부처인 노동부도 참여함으로써 3개 부처의 인력양성사업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우수한 기술인력 양성 및 능력개발을 활성화할 계획으로 특히, 차세대 성장동력분야의 기간인력 확보의 시급성을 감안하여 성장동력분야 중심으로 집중 지원할 계획임
이번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노동, 교육, 산자부는 금년에 총 862억원의 재원을 투입하여 성장동력특성화 대학지원사업 등 5개 세부사업을 지원
지원대상도 4년제 대학 뿐아니라 2년제 전문대학, 실업고, 대학원으로 확대하였고, 산업계 수요를 적극 반영하기 위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 협의체’에 대해서도 지원할 계획임
*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 : 주요 산업별로 업종단체, 기업, 학계, 전문 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되는 민간 주도의 HRD 협의기구
세부 사업별 추진계획은 아래와 같음
첫째, 성장동력특성화대학 및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지원사업은 성장동력분야 및 지역전략산업의 중간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2년제 전문/기능대학에 지원 (노동부, 교육부)
- 성장동력 특성화대학은 전국을 대상으로 20개 대학을 선정하여, 1개 대학당 연간 10억원내외(최대 3년)를 지원하여 성장동력분야 현장형 중간기술인력 양성
-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의 경우 전국 10개 권역별로 1개 대학을 선정(10억원이내)하고, 산학협력 지원체계 개편, 중소기업 기술지도, 공동장비 등을 지원
둘째,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은 금년에 신규 ‘중심대학’ 선정을 하지 않고, 작년 선정된 13개 대학에 대해 집중지원 (산자, 교육부)
- 원칙적으로 400억원에 대해서는 13개 대학별로 ‘04년 지원규규모와 동일하게 지원하고, 추가 40억원에 대해서는 1차년도 산학협력 실적 등을 감안하여 차등 지원
- 13개 대학과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 참여 대학원, 전문대/기능대, 실업고와 연계 협력 프로그램 도입을 적극 권장
셋째, 최우수 실험실(Lab of Excellency)사업은 전국을 대상으로 수월성에 따라 우수 실험실을 선정하여 관련분야 업체와의 공동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지원 (산자부)
- 특히, 3년후 최종 성과가 우수한 실험실에는 신규 참여를 허용하여 계속 지원 예정
넷째, 산학협력 우수실업고 사업은 우수한 이공계인력의 조기 육성을 위하여 금년에 20개 시범학교를 선정 지원(노동, 교육, 산자부)
- 선정된 실업고는 외부 전문교육기관 등과의 연계를 통한 산학협력형 교육을 실시하고, 자율학교 또는 연구학교로 지정하여 교육과정 설계·운영에 대한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
마지막으로 교육훈련혁신센터 사업은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주관의 해당 업종(성장동력분야 등) 인력양성을 지원(노동, 산자부)
- 이를 위해 선정된 협의체는 해당 업종의 기업, 대학 등과 공동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른 인력양성 사업 실시
정부는 동 사업을 통해 연간 2만 5천명의 인력이 동 사업에 참여하고, ‘05~‘08년까지 총 4년동안 3만 여명의 산업현장 밀착형 인력이 산업계로 배출될 것으로 전망
또한 교육훈련기관간 연계, 산업수요에 적합한 교육훈련 체계를 통해 산학협력 인력양성 체계가 구축되고, 장기적으로는 선택과 집중에 따른 대학의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의 촉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
노동부, 교육인적자원부, 산자부는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업별로 관리전담기관을 지정하여 운영할 계획임
* 산업기술재단 : 산학협력중심대학, 최우수실험실, 산학협력 우수실업고
* 산업인력공단 : 성장동력특성화대학, 교육훈련혁신센터
* 직업능력개발원 :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대학, 실업고,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 등을 대상으로 5.16(월) 교육문화회관에서 ‘3개부처 공동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사업계획서는 금년 6월말까지 사업별로 관리전담기관을 통해 접수할 계획임
고용노동부 개요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 가정의 양립 지원, 근로 조건의 기준, 근로자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노사협력의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다.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에 기획조정실, 고용정책실, 통합고용정책국, 노동정책실, 직업능력정책국, 산재예방보상정책국, 공무직기획이 있다. 소속 기관으로는 6개 지방고용노동청, 40개 지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훈련정책과 김도형 서기관 02-2110-7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