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9호선 개통 1주년…황금라인 따라 주변 아파트값도 ‘금값’
각 호선별로 살펴보면, 9호선 역세권 단지들은 지난해 7월 개통 당시 3.3㎡당 매매가가2,173만 원이었던 것이 현재 2,287만 원으로 5.23% 상승했고, 다음으로 반포역 역세권 단지들이 오름세를 보인 7호선 또한 1.46%(1,478만→1,500만 원)를 기록했지만 9호선과는 큰 폭의 차이를 보였다. 뒤를 이어 2호선 0.96%(1,777만→1,794만 원), 6호선 0.96%(1,343만→1,356만 원), 5호선 0.84%(1,701만→1,716만 원), 3호선 0.40%(1,829만→1,836만 원) 순으로 오름세를 기록한 반면 1호선 -0.10%(990만→989만 원), 4호선 -0,66%(1,272만→1,264만 원), 8호선 -4.22%(2,157만→2,066만 원) 등은 오히려 하락세를 나타냈다.
9호선이 통과하는 6개 구 중에서는 서초구가 가장 수혜를 많이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초구는 9호선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주변 재건축 단지들을 비롯해 개통과 함께 입주한 래미안퍼스티지 등의 상승에 힘입어 1년 간 8.98%(3,550만→3,869만 원)가 올랐고, 영등포구 7.97%(1,963만→2,119만 원)의 경우 강남 접근성이 좋아진 여의도동의 아파트가 오름세를 보였다. 동작구 또한 0.87%(1,494만→1,507만 원)의 상승률을 보인 반면, 최고의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꼽혔던 강서구는 개통 이후 3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0.71%(1,324만→1,334만 원)가 오르는데 그쳤다. 강남구 0.30%(2,730만→2,783만 원)는 소폭 상승, 양천구는 -0.62%(2,126만→2,013만 원) 내림세를 보였다.
개별 단지로 살펴보면 가장 오름폭이 컸던 서초구에서는 반포동 한신1차의 3,3㎡당가가 개통 당시 4,389만 원에서 현재 5,574만 원으로 26.99%나 상승했고, 영등포구 여의도동 시범도 21.99%(2,579만→3,158만 원) 올랐다. 동작구에서는 흑석동 명수대한양의 매매가 변동률이 10.11%(1,309만→1,441만 원)로 가장 많이 뛰었고, 강서구 염창동 태진한솔 12.19%(1,293만→1,451만 원), 강남구 논현동 거평프리젠 2.99%(1,231만→1,268만 원), 양천구 목동 롯데캐슬위너 3.53%(2,136만→2,211만 원) 등도 9호선 호재의 수혜를 받았다.
9호선은 현재 개통된 1단계 구간(개화~신논현)에 이어 2014년 말에는 2단계(신논현~종합운동장)와 3단계(종합운동장~서울보훈병원)까지 개통이 완료될 예정으로 향후 추가될 ‘황금라인’ 주변의 아파트 가격에도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도움말:부동산뱅크 이서호 연구원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