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재개관 기념 특별전 ‘아시아의 전통복식’

대구--(뉴스와이어)--국립대구박물관(관장:이내옥) 재개관을 기념하는 특별전 ‘아시아의 전통복식’이 오는 9월 26(일)까지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열린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중앙박물관·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티벳박물관·코리아나 화장박물관 등을 비롯해 국내 여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희귀한 아시아 여러나라 · 여러민족의 전통복식을 한자리에 모아 대구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아시아란 처음에는 고대의 동방, 즉 오리엔트를 가리켰으나 오늘날에는 유라시아 대륙의 중부와 동부의 전 대륙을 포괄하는 지역을 지칭한다. 다양한 지리적 특성과 문화적 흐름에 따라 아시아 전역을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부아시아, 서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지역으로 나누어 보고 전통복식의 특징을 통해 여러 민족의 삶을 느껴볼 수 있도록 전시되고 있다.

국립대구박물관은 국내최초로 우리나라 전통복식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섬유복식실’을 신설하면서 특별전으로 ‘아시아의 전통복식’을 마련했다. 지금까지 아시아 전체를 다루는 광범위한 복식전시는 없었기에 이번 전시가 특별하다. 아시아의 복식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부분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각각의 지역들이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는가를 아시아라는 큰 틀에서 비교할 수 있는 색다른 전시이다. 2개관으로 나뉘어 85건(125여 점)의 전통복식 및 직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특징적인 전통복식들을 통해 옷과 장신구의 아름다움을 새삼 느끼게 하는 전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별 복식문화의 특징

우리나라가 속하는 동북아시아(Northest Asia)의 경우 중국에서 형성된 도교와 유교, 불교의 수용, 한자문화권이라는 공통점에서 종교와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의 특징은 북방계(호복胡服)와 남방계(포袍)의 복식이 융화되어 나름의 독자적인 형태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동남부아시아(East Southern Asia)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시아제도로 구성되며, 인도네시아 · 타이 · 베트남 · 캄보디아 · 미얀마 · 말레이시아 등이 포함된다. 동남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기본적인 복식은 긴 천을 허리에 두르는 요의(腰衣) · 요권의(腰卷衣) 형태이다. 특히, 동남부 지역은 다양한 염색기법과 무늬가 발달했다.

중앙아시아(Central Asia)는 대륙의 중심부에 위치한 광할한 지역으로, 동서교역의 중요한 역할을 한 지역이다. 티베트와 네팔, 부탄 등이 속하며 히말라야 북쪽 산맥에 위치한 티베트는 추위를 이기기 위해 상의 위에 방로(氆氌)로 만든 조끼형태의 포를 입는 것이 특징이다. 양모로 직조한 후 여러 가지 색으로 염색한 방로는 티벳인들의 전통적인 미감을 느낄 수 있다. 한 가지 재미있는 것은 네팔은 지역에 따라 옷의 형태가 달리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에 따른 기후의 차이가 복식의 형태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서아시아(West Asia)는 페르시아 문명과 기독교 및 이슬람의 발생지다. 지리적으로 동서양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어 동·서 문물교류의 교차점이자 여러 주변 민족의 침입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서아시아의 복식문화는 복잡한 역사만큼 매우 다양하다.

아시아 전통복식의 특징

옷감을 몸에 맞도록 재단하여 입는 방식이 서양의 방식이라면 아시아 지역은 옷감 그대로의 직선적인 형태를 응용해서 만드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즉, 직조방식에 따라 직물의 형태를 그대로 살려낸 것이 특징이며 이는 옷감 고유의 무늬와 색이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대부분의 아시아 지역은 19세기 이전에 서양복식이 받아들여졌고, 각 민족의 고유한 전통복식을 대체하여 일상복으로 자리 잡았다. 그 결과 각 민족의 전통복식은 전통의례의 예복이나 축제복으로만 남아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전통복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복고주의나 에스닉 스타일(Ethnic Style) 등 유행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고대 아시아인들에게 복식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가?

옷감의 무늬에 나타난 상징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색을 좋아했고, 여성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은 어느 정도였는지 등 당시 아시아인들의 생활 문화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아시아의 전통복식> 특별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펼쳐지는 재미있는 복식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웹사이트: http://daegu.museum.go.kr

연락처

국립대구박물관 홍보마케팅
우란주
053)768-605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