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공원, 바야흐로 ‘메밀꽃 필 무렵’

- 잠원․망원 한강공원 등에 ‘메밀꽃’ 활짝 펴 흰 물결 넘실

- 7월 말부터 피기 시작해 8월 중순 절정 이룰 것

- 서울시, 지난 3월부터 메밀․유채․보리 등 파종해 ‘전원풍경단지’ 조성 중

서울--(뉴스와이어)--‘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틔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달 밝은 밤 동이와 허생원이 메밀꽃이 흐드러지게 핀 산허리를 넘으며 추억담을 나누던 봉평 메밀밭. 8월의 한강공원은 만발한 메밀꽃으로 ‘봉평’이 부럽지 않다. 열대야로 잠 못 드는 여름 밤, 숨 막힐 듯 새하얀 소설 속의 메밀꽃밭을 한강에서 만나보자.

서울시(한강사업본부)는 고향의 정취와 전원풍경을 느낄 수 있도록 연중 유채·메밀·코스모스·밀·보리 등이 피고 지는 ‘전원풍경단지’를 조성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밀꽃이 만발해 한강의 풍광과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8월의 한강공원은 여기저기 메밀꽃으로 뒤덮여 있다. 도시 속 한강공원 잠원·이촌·양화·망원 4개 공원에 20,000㎡ 규모의 메밀꽃 밭이 펼쳐져 마치 한여름에 눈꽃이 내려앉은 듯 아름다운 풍경을 선보이고 있다.

초가을을 여는 꽃으로 알려진 메밀꽃은 백색의 한해살이풀로, 보통 7~9월 사이 개화하며 향이 강하지 않고 은은한 반면 꿀이 많아 여름철 벌이 많이 찾아든다.

올해 7월 초순 파종한 메밀은 7월 말부터 개화를 시작하여 이번 주인 8월 중순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여, 시원한 바람이 있는 한강변 달빛에 은하수를 수놓은 듯한 메밀꽃 밭을 즐기며 무더위를 날려 보내는 것도 좋은 여름밤 추억이 될 것이다.

최근 밤늦게까지 이어지는 무더위로 저녁에 한강공원을 찾는 많은 시민들은 뜻밖의 장소에서 만난 메밀꽃 밭에 반가워하며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을 찾아 멀리 강원도 평창까지 갈 필요가 없다고 즐거워한다.

한강공원에서 메밀꽃밭의 정취를 흠뻑 느낀 다음 근처에서 시원한 메밀국수 한 그릇 먹으며 열대야를 이겨내는 것도 색다른 피서가 될 것이다.

특히 잠원한강공원 메밀단지 옆에는 누에체험학습장이 조성되어 있어 방학을 맞은 자녀들과 함께 누에 체험을 한 뒤에 근처 잔디밭에 돗자리를 깔고 누워서 더위를 식히기 좋고, 이촌한강공원 메밀밭은 선선한 강바람을 맞으며 조용하게 거닐기에도 괜찮다.

서울시는 지난 3월부터 봄에는 유채·밀·보리, 여름에는 메밀, 가을에는 코스모스 등 시민들이 한강변에서 계절마다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며 색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계절에 어울리는 작물을 가꾸고 있다.

한강공원 메밀단지는 동호대교 남단(잠원 ☎3780-0531), 이촌 거북선나루터 앞(이촌 ☎3780-0551), 양화대교 남단(양화☎3780-0581), 양화대교 북단(망원 ☎3780-0601) 등 총 4곳에 조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강사업본부 녹지과(02-3780-0656)로 문의하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웹사이트: http://hangang.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녹지과장 오춘섭
3780-066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