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낙폭 확대…수요자 급매물 중 저가 매물만 ‘관심’
간간이 매수문의가 이어지던 99㎡대 면적도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66㎡대 소형면적 위주로 매수자들이 관심을 보이지만 매도호가에 비해 턱 없이 낮은 가격을 원해 계약체결이 어려운 모습이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이번주 전국 아파트가격은 -0.06%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서울이 지난주와 비슷하게 -0.09% 약세를 보인 가운데, 버블세븐지역(-0.13%)을 비롯한 신도시(-0.22%), 경기도(-0.11%), 인천(-0.07%) 지역 모두 전주보다 하락폭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은 지난주 보합세를 기록했던 용산, 광진, 도봉, 강서, 강북 등의 지역이 이번주 일제히 하락대열에 합류하면서 대부분 지역이 약세장을 기록했다. 동대문구, 서대문구, 성북구 등 도심권 출퇴근이 수월한 지역 위주로는 66㎡대 이하 소형면적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이어졌지만 막상 계약체결 시점에는 매수자들이 급급매물로 나온 가격에서도 10% 이상 가격을 낮추기를 원하는 등 거래성사가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수도권 지역 역시 매매시장의 찬바람은 여전했다. 지역별로 전세문의는 꾸준히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는 매물품귀현상까지 이어진 반면, 하남시, 고양시, 군포시 등 매수문의가 간간이 이어지던 지역에서는 매수자우위시장이 강력히 형성돼 있는 등 매도 매수자간 호가 차이가 커 거래가 쉽게 이뤄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인천 지역은 부평구나 계양구 등 대단지 밀집 지역 위주로 거래되지 못한 매물들이 쌓여 가면서 시세 하한가가 계속해서 조정되는 양상이다.
서울 ▼-0.09%, 강남권 ▼0.10%, 비강남권 ▼0.09%, 재건축 ▼0.05%
서울 강남권과 비강남권이 각각 -0.10%, -0.09%의 변동률로 비슷한 수준의 약세를 보였고, 유형별로는 일반아파트는 -0.10%, 주상복합단지는 이번주 변동이 없었다. 이번주 재건축 단지(-0.05%)는 잠실동 주공5단지 112㎡(10억 6,500만→10억 8,000만 원), 가락동 시영1차 50㎡(5억 2,000만→5억 2,750만 원) 등의 단지가 소폭 상승하면서 송파구가 0.32%로 나홀로 오름세를 보인 반면, 강남구(-0.23%), 강동구(-0.15%), 영등포구(-0.08%) 일대 단지들은 거래부진은 면치 못했다.
서울 일반 아파트 구별로는 최근 대규모 입주여파로 고전을 면치 못했던 강북구에서 가격하락 매물들이 거래되면서 0.16% 소폭 가격이 오르는 모습을 보였지만, 동대문구(-0.28%), 양천구(-0.23%), 성북구(-0.23%), 송파구(-0.19%) 등의 지역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했다.
개별 단지로는 강북구 미아동 동부센트레빌 101㎡가 4억 6,250만 원에서 4억 9,500만 원으로 가격이 오른 반면, 동대문구 전농동 우성 135㎡(4억 3,000만→3억 9,000만 원), 양천구 신정동 경남아너스빌 108㎡(5억 2,500만→4억 8,500만 원), 성북구 길음동 길음뉴타운1단지(래미안) 72㎡(3억 3,000만→3억 620만 원),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141㎡(10억 2,500만→9억 8,500만 원) 등의 단지가 하락세를 보였다.
경기도 ▼0.11%, 신도시 ▼0.22%, 인천 ▼0.07%
이번주 신도시는 전 지역이 모두 일제히 내리막길을 걸었는데, 산본이 -0.38%로 하락세를 주도했고, 평촌(-0.25%), 일산(-0.22%), 분당(0.21%), 중동(-0.07%) 등의 순으로 약세장을 이었다.
이번주 경기도 31개 지역 중 19개 지역이 아파트값 하락세를 면치 못했고, 이밖의 지역은 모두 거래없이 보합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최근 급매물 거래가 간간이 이뤄지면서 하한가가 조정되고 있는 하남시가 -0.94%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고양시(-0.31%), 파주시(0.28%), 군포시(-0.28%), 성남시(-0.18%), 광주시(-0.17%) 등의 순으로 약세장을 이었다. 인천은 계양구가 -0.24% 빠졌고, 서구(-0.09%), 남동구(-0.04%), 부평구(-0.03%), 연수구(-0.02%) 등의 순으로 가격 하락세를 보였다.
도움말:부동산뱅크 시황분석팀 김근옥 책임연구원(kko@neoent.co.kr)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김근옥 책임연구원
02-2185-7207(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