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드리는 우리동네 문화체험
미처 하지 못한 여름방학 숙제겸 온 가족이 박물관이나 우리동네 문화시설을 탐방해 볼만한 곳은 어디일까!
우선, 우리동네의 다양한 문화·건축 ·미술 ·유물을 찾아가 보는 ‘서울문화예술탐방’은 오는 8.27(금)은 평화시장, 고산 윤선도 생가터, 한무숙 문학관을 찾아 지금은 허물어져 없어진 옛 문인들의 생가를 직접 찾아가 잃어버린 자취를 찾아 그들의 삶과 작품을 체험해 보고, 8.28(토)은 서울애니메이션센터, 토이기노장난감 박물관 등을 찾아 추억의 만화영화를 탐방해 볼 수 있다.
강서구 겸재정선기념에서 실시하는 겸재 정선의 그림속에 등장하는 양천현아지, 양천향교, 소악루(궁산), 행호관어조망지 등 현장을 답사해 보는 ‘겸재그림속 현장답사’ 프로그램은 10.30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오후 3시 두 차례 무료로 진행된다. 단, 기념관 입장료는 유료이다.
창덕궁 내의원에서 9.2~9.9 매주 목요일에 열리는 ‘한의학체험’도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약첩만들기, 약갈이 체험등을 무료로 해 볼수 있는 프로그램(창경궁입장료는 유료)이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도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준비해 놓고 있다. 순국선열들의 옥사고난을 영어로 들려주는 ‘영어로 만나는 서대문형무소’는 8.29일까지 매주 토·일, 청소년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열리며, 박물관 계통에 관심있는 청소년들의 진로탐색을 해주는 ‘나도 역사관 1일 사원’, 역사관장이 시민고객들을 직접 전시안내해 주는 ‘관장과 함께하는 근대사산책’은 8.28(토)에 열린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는 유치부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험보고서 만들기, 전시장 투어를 해보는 ‘박물관투어’가 8.28(일)까지 있고, 어린이도슨트가 어린이를 대상으로 전시코너를 안내하는 ‘어린이도슨트’가 주말 박물관입장객을 대상으로 무료로 열린다. 2층 기획전시실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여러 상어들을 소개하고 인간에 의해 위험에 처해있는 상어에 대한 이야기인 ‘상어의 신비’ 기획전이 내년 2월말까지 무료로 진행될 예정이다.
늦여름의 정취를 발레와 함께, 무용과 함께!
야외에서 볼 수 있는 무용공연인 ‘가든무용축제’가 가든파이브 중앙광장에서 8월 22(일), 28(토), 29(일)밤 저녁 8시부터 1시간 반동안 무료로 펼쳐진다. 모던발레에서 우리춤까지 서울의 대표무용단이 펼치는 수준높은 무용공연으로, 서울발레시어터(21일), 사랑하면 춤을 춰라(22일), 서울시립무용단(28일), 우리 전통춤 한마당(29일) 순으로 공연된다.
한편 국립발레단과 함께하는 해설이 있는 발레 ‘코펠리아’가 열린극장 창동에서 8월 27(금), 28(토)양일간 펼쳐진다. 엉뚱한 발명가 코펠리우스 박사가 만든 인형 ‘코펠리아’를 마을 사람들이 사람으로 오해하면서 일어나는 유쾌하고 발랄한 이야기, 마치 한편의 동화를 감상한 듯한 아기자기한 무대와 의상, 스토리로 만 4세 이상 관람가능하다.
서울와이즈발레단의 해설과 함께하는 ‘발레야 놀자’는 9.2(목) 저녁 7시 30분 강동구민회관에서, 8.27(금) 저녁에는 서초구민회관에서 시민들을 찾아간다.
발레와 현대무용, 전통무용 등 춤의 모든 것을 쉽고 즐겁게 보여주는 ‘Pre-서울댄스페스티벌’이 강서구민회관 우장홀서 8.27(금) 저녁 7시 무료로 공연된다.
세종문화회관의 찾아가는 문화공연 함께해요 나눔예술 ‘하얀사 고이접어’는 전통무용공연으로 강서구민회관 우장홀에서 9.10(금)저녁 7시에 시민들을 찾아간다.
어른에게는 샹송과 함께하는 발레를, 청소년에게는 이야기와 음악이 있는 발레를 선사하는 ‘서(SEO)발레단의 이야기가 있는 발레’가 노원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8.19(목) 열린다.
기타 자세한 프로그램 안내 및 행사문의는 해당 구청 홈페이지나 120 다산콜센터로 하면 된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국
문화정책과장 이무영
2171-2568